이데일리신문 | 이 기사는 이데일리신문 2012년 03월 16일자 22면에 게재됐습니다. |
다만 해당 저축은행들이 작년말 자구노력의 일환으로 제시한 본점과 계열사 매각 등이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추가 구조조정 폭이 커지는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15일 금융당국 및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주 적기시정조치(경영개선권고·요구·명령)를 유예받은 저축은행 4곳에 대한 추가 검사를 마무리한다. 금감원은 이번 추가 검사에서 자구노력 등을 통한 경영개선 여부는 물론 앞서 실시한 1차 현장점검 과정에서 확인된 부실을 메우는 과정에서 실시한 유상증자의 자금출처 등을 면밀히 살펴본 것으로 전해진다. 금감원은 앞으로 자구노력 이행실적과 경영상태 점검 등의 절차를 거쳐 내달 중순 이후 최종 구조조정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영업정지 등 적기시정조치가 필요한 저축은행이 나올 경우 경영평가위원회 등의 절차를 거쳐야해 구조조정 명단 발표시기가 4월말로 미뤄질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앞서 금감원은 작년말 적기시정조치 유예기간이 끝난 저축은행들에 대해 부동산이나 계열사 매각 등 자구노력을 위한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 구조조정 일정을 늦춘 바 있다. 하지만 해당 저축은행들의 자구노력은 여전히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실제로 A저축은행은 현재 경영개선 방안의 일환으로 계열 저축은행인 B저축은행의 매각을 추진중이지만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지방 소재 C저축은행의 경우 부동산 매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융당국 안팎에서도 회의적인 반응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현재 1~2곳 정도의 저축은행이 추가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것이 유력시되는 가운데 그 숫자가 더 늘어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총선 후 추가 구조조정 명단을 발표할 경우 정치적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는 점도 이 같은 분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저축은행들의 경영개선 작업이 여의치 않다”면서 “이번 주 현장점검이 마무리되는 만큼 앞으로 자구노력 이행실적과 경영상태 점검 등의 절차를 거쳐 구조조정 명단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