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WC 결산)①수비 축구의 승리

  • 등록 2010-07-13 오전 9:30:34

    수정 2010-07-13 오전 10:22:39

▲ 로번(가운데)의 드리블 돌파를 저지하는 스페인 선수들(사진=gettyimages/멀티비츠)

[이데일리 SPN 송지훈 기자] 한 달간 지구촌을 뜨겁게 달군 남아공월드컵은 세계축구의 주된 흐름인 '수비축구'의 트렌드를 고스란히 이어갔다.

조별리그서부터 결승전까지 남아공월드컵 본선에서 열린 64경기서 145골이 나와 경기당 평균 2.27골을 기록했다. '수비 월드컵'으로 불리며 악명을 떨친 1990년 이탈리아월드컵(평균 2.21골)에 이어 역대 2번째로 골이 적게 났다.

원인은 2가지로 분석된다. 우선 '지지 않는 축구'가 세계축구의 주된 전략으로 자리잡은 이후 무실점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1990년대 들어 '많이 넣는 축구'보다 '적게 잃는 축구'가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각국 감독들 사이에서 수비 전술 개발이 유행처럼 번졌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것이 압박축구다. 필드 플레이어 전원이 각자의 자리에서 수비에 적극 가담하고, 상대 선수가 볼을 잡으면 주변 선수들이 에워싸 패스의 길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토너먼트 경기에서나 활용할 법한 수비축구가 각국 리그 경기에 폭넓게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압박 전술의 달인'으로 평가받는 지도자들도 나타났다. 2009-10시즌 이탈리아 명문 인터밀란을 이끌고 UEFA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일궈낸 '독설가' 조세 무리뉴 감독이 대표적인 예다.

압박에 기반한 수비축구의 흐름은 월드컵 무대에서도 확인된다. 현재와 같은 32강 구도를 처음 시행한 1998년 프랑스월드컵 당시에는 64경기서 총 171골이 터져 평균 2.67골을 기록했다.

그러던 것이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평균 2.52골(총161골)로 감소했고, 2006년 독일월드컵에서는 2.30골(총147골)로 더욱 내려앉았다. 남아공에서는 2.27골에 그쳤으니 4개  대회 연속 내리막길을 걸은 셈이다.

세계축구의 상향 평준화 현상도 수비축구가 득세하는 원인으로 손꼽힌다. 강팀과 약팀의 실력 격차가 꾸준히 좁혀지다보니 모든 팀들이 더욱 신중해졌다는 것이다.

이번 대회서 최다골 경기는 북한과 포르투갈전으로 7골(포르투갈 7-0승)이 났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월드컵 무대에서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무너지는 경기가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이번 대회 최약체 중 한 팀으로 손꼽힌 뉴질랜드가 슬로바키아, 이탈리아, 파라과이 등 만만찮은 상대들과 치른 조별리그서 무패(3무)를 기록한 것이 좋은 예다.

▶ 관련기사 ◀
☞(남아공WC 결산)⑤세계를 휩쓴 응원녀 열풍
☞(남아공WC 결산)④스타들의 흥망성쇠
☞(남아공WC 결산)③뛰는 중계, 기는 판정
☞(남아공WC 결산)②라틴축구 꽃피다
☞(남아공 월드컵)스페인 전성시대, 앞으로도 쭉 이어질까?
☞(남아공 월드컵) 스페인 감독 "첫 우승은 선수들 덕분"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尹 관저로 유유히..정체는
  • 김혜수, 방부제 美
  • 쀼~ 어머나!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