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이름은'…日로 건너가 '노리'로 개명한 韓 '김'

한국산 재료로, 한국서 만들어, 일본에 수출한 한국 김
현지에서 일본식 '노리'로 상품화해 판매
일본 장악한 김 시장 공략 위한 고육지책이라지만
김 한식으로 세계화하려면 '고유명사 활용' 고민 필요
  • 등록 2021-05-13 오전 5:30:00

    수정 2021-05-13 오전 5:30:00

[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한국산 김이 일본명 노리(のり)로 현지에 수출되고 있어 한식 세계화 의지를 거스른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기업이 일본이 고유명사로 밀고 있는 노리를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 김이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스스로 입지를 좁힐 수 있어 우려가 따른다.
전남 해안에서 김을 양식하는 현장.(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상위권 식품사 A사가 일본으로 수출해 판매하는 조미김(기름을 발라 소금을 뿌려 구운 김)은 상품명이 ‘韓國味付のり’이다. 직역하면 ‘한국조미김’이다. ‘のり’(노리)는 일본에서 김을 일컫는 단어다. 한국어 명칭을 병기한 이 제품은 한국에서 한국산 김을 써서 만들었다. 국산 재료로 만든 제품에 일본 이름을 주되게 붙였다. 다른 대형 식품사 B사를 포함해 여러 한국 김 제조사도 같은 방식으로 김을 제조해서 일본으로 내어가 노리로 판매하고 있다.

이런 마케팅에는 김에 대한 식품사 시각이 담겼다는 분석이다. 김을 상품으로 대할지, 식품으로 대할지 문제이다. 김을 상품으로 본다면 보통 명사로서 노리라는 표현도 무난하지만, 김을 김치처럼 한식(식품)으로 친다면 ‘노리’라는 표현은 부족하다. 문화적인 개념을 수반하는 식품이라면 고유 명사 ‘김’으로 적는 게 옳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 기업이 김을 한식으로 대하는 인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은 아프다.

이런 인식은 김의 확장성을 제한한다는 지적이 뒤잇는다. 특히 현재 한일 양국이 김 세계화를 다투는 상황이라 이런 선택은 더욱 아쉽다. 그간 김은 한국과 일본, 중국 등 3국에서 주로 먹는 지역색이 짙은 식품이었다. 서양에서는 ‘블랙 페이퍼’로 취급하고 정체 모를 먹거리로 분류했다. 지난해 코로나19를 계기로 처지가 바뀌었다. 건강에 관심이 커지면서 해조류가 각광 받고 김으로 수요가 몰렸다. 그러면서 서양을 비롯한 전 세계 시장이 김 격전지로 떠올랐다. CJ제일제당을 비롯한 한국 식품사가 지난해 미국에서 거둔 호황을 올해 김으로 이어가고자 애쓴다.

그런데 글로벌 시장에서 ‘GIM’(김) 마케팅은 찾아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미국 시장을 예로 들면, 한국 김 대부분은 ‘Seaweed’(시위드·해초류를 일컫는 영어)로 이름이 붙어 팔린다. 일본 김 제조사가 ‘NORI’(노리)로 모든 제품을 상품화한 것과 대비된다. 상황이 이러자 일부 한국 업체는 미국에서 김을 노리로 팔고 있다. 노리가 일본 고유의 식품으로 인식되는 와중에, 김은 해초나 노리 유사품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품이 상품보다 앞선다는 사례는 김밥이 스시 일종으로 인식되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며 “김과 밥으로 식품 자리를 차지한 스시가 나머지를 상품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한국 식품에 일본식 이름이 붙곤 한다. 김치가 대표적이다. 한국산 김치는 ‘キムチ’(기무치)로 표기해서 일본에 수출한다. 그러나 기무치는 김치의 일본어 표기일 뿐이다. 일본에는 김치라는 식품이 없어서 발음 나는 대로 쓴 음역(한자 따위 문자로 음을 나타냄)인 것이다. 김치를 기무치로 적는 것은 김을 노리로 쓰는 것과 개념상 차이가 있다.

A사 관계자는 “일본이 장악하고 있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 김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노리 표현을 빌리거나 해초와 같은 상품명을 차용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며 “인식이 개선하면 상품 판매 방식도 바꿔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홈런 신기록 달성
  • 꼼짝 마
  • 돌발 상황
  • 우승의 짜릿함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