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e뉴스 박종민 기자] 소치 동계올림픽이 폐막한 지 어느덧 1년이 지났다. 소치 올림픽은 경기 내외적으로 잡음이 많았던 대회였다. 경기 내적으로는 판정 논란이 일었고, 외적으로는 시설, 운영능력 등이 지적을 받았다. 소치 올림픽은 주위 여건, 경기 운영, 대회 후 관리 등을 종합해 볼 때 성공적인 대회가 아니었다.
지난 1년간 소치 올림픽에 관한 외신들을 관심 있게 지켜봤다. 여자 피겨스케이팅 편파 판정과 황량해진 소치의 모습을 전하는 기사들이 주를 이뤘던 것 같다. 소치가 주는 교훈은 바로 이 두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우리는 ‘소치의 교훈’을 명심해야 한다. 경기 내적으로는 공정성이 유지돼야 하고 외적으로는 ‘올림픽의 저주’를 극복해야 한다.
올림픽 개최라는 영광을 뒤로 하고 소치는 러시아 정부의 예산을 깎아 먹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소치 올림픽 개최를 위해 러시아 정부가 들인 돈은 무려 510억 달러(약 55조 원)에 이른다. 그러나 소치 올림픽이 열렸던 장소는 현재 유동 인구가 지극히 적다.
|
러시아 소치만의 일은 아니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을 유치한 일본 정부는 대회 후 수십억 규모의 적자를 떠안았다.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였던 캐나다 밴쿠버도 마찬가지다. 시작단계부터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지원을 받은 벤쿠버는 결국 대회 후 50억 달러 이상 손실을 봤다.
한국도 예외일 수 없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011년 7월 7일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되는 순간 전 국민은 환호를 쏟아냈다. 그러나 평창이 올림픽을 개최한 후 제2의 소치, 벤쿠버, 나가노 등이 될지는 모를 일이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IOC는 향후 올림픽의 원활한 유치를 위해 지원금을 점차 늘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치 1주년의 교훈을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대회 폐막 1주년이 될 2019년 평창의 모습이 2015년 소치의 모습과 오버랩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얘기다. ‘평창 스캔들’과 ‘평창의 저주’는 올림픽을 준비하는 올림픽조직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등이 가장 경계해야 할 용어다.
▶ 관련기사 ◀
☞ '5호골' 기성용, 英 언론 MOM 싹쓸이...최고 평점은 '덤'
☞ 게리 네빌 “팔카오·판 페르시 조합은 실패”
☞ 獨서 펄펄 나는 손흥민, 英 EPL서 뛴다면?
☞ 박지성과 나카타, 묘하게 닮은 韓·日 축구영웅
☞ 잭 라빈 “르브론과 덩크? 이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