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일을 두고 의료계에서는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필수의료 부족 사태는 큰 진전이 없다는 반응이다. 일단 고육지책으로 정부는 그간 의사 공급 자체를 확대하려고 했지만, 의사협회 등 이익단체의 강한 반발에 막혀 십수년째 바뀐 게 없는 모습이다.
필수의료 부족 사태에서 의사단체의 논리도 틀린 것은 아니다. 당장 극악의 업무 강도와 소송에 대한 불안감, 인구구조상 사실상 개업이 어려운 점 등까지 무작정 ‘내외산소’(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으로 의사들을 밀어 넣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다만 의료분야만큼은 개혁에 나서도 더 정교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지금으로부터 10여년 전 편의점에서도 상비약을 구매할 수도 있게 제도가 바뀌었다. 역시나 이 과정에서도 약사 단체의 극심한 반발이 있었다. 당시 진수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사, 약사, 간호사, 환자 단체 등을 망라한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해결의 단초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서로 만나 초기엔 각자 주장만 내놓아도, 계속된 대화가 이뤄지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결국 해답을 도출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다.
현재 의료계는 원격진료, 공공의대 설립, 의사정원 확대, 필수의료 확충 등 난제만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항상 문제가 터지고 그제야 나섰던 우리 사회 모습처럼, 제때 치료를 못 받아 소중한 생명이 안타까운 목숨을 잃은 후에 사회적 공론화가 이뤄지는 모습은 막아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