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그는 “디지털 미디어 관련 기업에서 일정 정도 자정 기능을 해주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예컨대 유튜브, 구글, 네이버 등 플랫폼 기업이 논쟁의 소지가 될 콘텐츠에 분명한 표식을 해주는 식이다. 선정적인 콘텐츠에 대해서 유튜브가 직접 관리를 하고 있는 것처럼 극단적인 주장을 하는 채널이나 콘텐츠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얘기다.
혹은 논란이 되는 사실에 대한 주장을 담은 콘텐츠라면 상반되는 다른 의견의 콘텐츠도 함께 제시한다고 제언했다. 이용자들이 특정 사안에 대해 균형있게 사고할 수 있게 돕자는 취지다.
그는 “미국 등에서는 학부모 단체를 중심으로 (플랫폼 기업에) 압력을 강하게 넣는다”면서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도 이 때문에 대단히 조심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고 교수는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정부, 시민 단체가 사업자한테 자정기능을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보수와 진보의 문제, 여야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 협력도 강화해야 한다는 안도 내놨다. 유튜브가 범지구적인 플랫폼이고 확증 편향 문제도 국제적으로 비화되고 있다는 게 이유 때문이다. 그는 유네스코나 국제 언론인 기구를 통해 해법을 모색하는 것을 제안했다.
고 교수는 “글로벌 스탠다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정부적인)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며 “쉬워 보이지만 막상 하려면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