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를 오르게 하는 주요 요인 중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과 코로나 사태는 외부적 요인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최저임금 인상은 내부적 요인으로 정부에서 충분히 조절할 수 있는 문제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초기에 최저임금을 2년에 걸쳐 약 29%나 인상시켜 여러 가지 문제를 낳게 했다. 현 정부에서는 소득주도성장정책의 핵심수단이었던 최저임금 급상승의 문제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인상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 어느 정도 인상해야 할 것인가?
여기서 고려할 사항은 최저임금 인상은 서민들이 먹는 음식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훨씬 커졌다는 것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4월 기준 자영업자는 560만 3000명이다. 여기서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36만 2000,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 24만1000명이다. 2017년 4월 대비 전자는 22만 6000명 줄었지만, 후자는 13만 4000 늘었다. 이는 2018년부터 2019년에 걸쳐 약 29%나 최저임금이 인상되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들이 늘어난 인건비 감당이 어려워 고용원을 해고하고 혼자 영업하는 자영업자로 전락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혼자 영업하는 자영업자라고 최저임금 인사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음식을 만드는데 필요한 식자재 가격이 오르기 때문이다. 식자재 유통과 관련된 노동자가 최저임금을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분이 식자재 가격에 고스란히 반영된다. 결국 혼자 영업하는 자영업자도 식자재 가격 인상에 따라 서민들이 먹는 음식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 2018년부터 2019년에 걸쳐 약 29%나 최저임금을 올렸을 때처럼 늘어난 비용부담을 종업원 해고로 대처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줄었다.
고공행진하고 있는 물가를 잡기 힘든 상황 하에서 최저임금 인상은 물가 인상을 촉진하여 결국 서민들만 더 힘들어지는 상황을 만들 것이다. 물론 노동자의 최저생계 유지를 위해 최저임금 인상도 고려해야 되지만, 지금은 상황이 너무 좋지 않다. 노동계에서도 이런 상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