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재정위기 상태의 공적연금을 개혁하면서 공적연금만으로 소득대체율 해법을 찾는 나라는 없다. 가장 우수한 유럽형 연금제도로 평가받는 네델란드도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이 29%까지 떨어졌다. 퇴직연금 소득대체율이 40%로 더 높다. 소득대체율은 다층연금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세계은행(WB),경제협렵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모두 하나같이 다층연금을 이용한 노후소득 안정을 권고하고 있지 않은가. 선진국 연금개혁을 봐도 공적연금만 개혁하는 나라는 없다. 우리도 지난 1년 동안 국민연금이 아닌 다층연금으로 구조개혁의 프레임을 준비했어야 했다.
지금이라도 다층연금을 개혁해야 문제가 풀린다. 선진국은 이미 소득대체율의 중추가 퇴직연금으로 바뀌고 있다. OECD 소득대체율 통계를 보면 네델란드는 물론이고, 영국도 공적연금(21%)보다 퇴직연금(27%)이, 미국도 공적연금(39%)보다 퇴직연금(42%)이 더 높다. 우리나라는 다층연금을 하나의 테이블에 놓는 연금개혁을 한 적이 없다. 현재 350조원, 10년내 1000조원으로 성장할 퇴직연금 규모를 고려하면, 이제야 다층연금 구조개혁 속에서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 수준을 정하겠다는 정부 발표는 만시지탄이다.
둘째, 퇴직연금 구조개혁을 최대치로 달성하는 것이다. 퇴직연금 보험료는 국민연금과 비슷한데 소득대체율은 개인연금과 함께 각각 10% 초반에 머물러 있다. 개선 여지가 매우 커 정책 효과도 클 것이다. 필자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제도개혁을 하면 개인연금과 합쳐 30%의 소득대체율 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선진국처럼 기금형을 도입해 소득대체율을 높이고, 영국식 자동가입제도를 통해 가입 사각지대를 해소하면 가능하다. 이 같은 퇴직연금 개혁 플랜을 통해 노후소득보장을 설득할 때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갈등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층연금 구조개혁은 부처별로 권한과 책임이 분산된 거버넌스로는 진행되기 어렵다.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을 통합 조정하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다층연금 전체를 통할할 수 있는 규제감독체제 구축을 염두에 두고 다층연금 구조개혁이 신속히 추진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