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동맥판막이 딱딱하고 좁아지는 대동맥판막협착증 …호흡곤란, 흉통, 실신, 혈압저하 등 증상 발생
심장에는 혈액이 제 방향으로 안전하게 흐르도록 문 역할을 하는 4개의 판막이 존재하고, 이 중 심장의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 대동맥으로 혈액이 나가는 대문에 해당하는 곳이 대동맥 판막이다. 대동맥 판막은 온몸으로 혈액을 내뿜기 위해 쉼 없이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퇴행성 심장질환이 생길 수 있는 대표적인 부위다.
대동맥 판막이 나이가 들면서 딱딱해지고 좁아지는 질환이 대동맥판막협착증으로 호흡곤란, 흉통, 실신, 혈압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이 발생된 직후부터는 사망률이 가파르게 상승하는데, 증상이 있는 중증 대동맥판막협착 환자의 경우 평균 수명이 2~3년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경피적 대동맥판막 삽입술로 고령환자 수술부담 낮춰
경피적 대동맥판막 삽입술은 중증 대동맥판막협착 환자가 75세 이상 고령이거나 전신 상태 불량으로 인해 외과적인 수술을 하기에는 위험한 경우에 좋은 적응증이 된다. 시술 방법은 가슴을 열지 않고, 대퇴 동맥을 통해 풍선이나 시술도관 내부에 장착된 인공 심장판막을 심장까지 넣은 후 인공심장 판막을 펼치는 치료법으로 심혈관 중재시술 중 난이도가 가장 높다.
이 시술은 심장내과, 심장혈관흉부외과, 마취과, 영상의학과 등 전문 의료진이 협진체계가 구축돼야 하고, 치료경험·인력·시설·장비 등에 대한 요건을 충족한 후 보건복지부의 승인을 받아야 시행할 수 있다.
박만원 교수는 “현재 경피적 대동맥 판막삽입술은 80세 이상 수술 고위험 환자에서는 보험이 적용돼 경제적인 부담없이 시술을 받을 수 있고, 향후 중등도 및 저위험군 환자에게도 적응증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수술적 치료와 함께 대동맥판막협착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