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재고 정상화 중…삼성전자·SK하이닉스 매수 적기"

KB증권 보고서
  • 등록 2023-09-25 오전 7:44:35

    수정 2023-09-25 오전 7:44:35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KB증권은 반도체 재고가 정상화하며 4분기부터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의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이라 기대했다.

25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지금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비중 확대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스마트 폰, PC, 서버 등 글로벌 세트업체들이 보유한 메모리 반도체 재고는 4분기부터 정상 수준에 진입할 전망”이라고 판단했다. 지난 22일 옴디아에 따르면 9월 기준 스마트 폰, PC 업체들의 메모리 반도체 재고는 3~4주 미만으로 적정재고 (6~8주)를 하회하고 있다. 이미 재고 조정이 이뤄졌다는 얘기다.

이어 그는 “특히 연초 북미 서버 업체들의 메모리 반도체 재고는 14~16주를 상회했으나, 9월 현재 7~8주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며 “4분기부터 북미 4대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메모리 반도체 주문은 약 1년 만에 재개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특히 근 스마트 폰 및 PC 업체들은 삼성전자에 디램(DRMA) 주문량을 늘리는 동시에 납품 가격 인상에도 동의했다. 김 연구원은 “이같은 판단은 올해 스마트폰, PC 출하량이 10년 만에 최저치에도 불구하고 바닥 확인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먼저 2024년 스마트 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5.2% 증가한 12억1000만대 수준으로 예상되고, 내년 PC 출하량도 전년 대비 5.5% 증가한 2억6700만대로 추정된다. 그는 “특히 글로벌 PC 수요는 2025년 윈도우10 지원 종료 영향으로 2024년부터 기업용 PC 교체 수요가 시장 수요의 촉매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4분기부터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큰 폭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이는 △4분기부터 북미 서버 업체들의 메모리 반도체 주문이 1년 만에 재개되며 가동률 상승에 긍정적 영향이 전망되고 △3조원 규모의 누적 재고평가손실이 4분기부터 이익으로 환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올 4분기 DRAM과 낸드(NAND) 고정거래가격은 2021년 3분기 이후 2년 만에 동시 상승이 전망되는 상황이다. 그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할 전망”이라며 “지금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비중확대를 적극 고려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