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스볼 블로그]밴 헤켄은 번사이드와 무엇이 다른가

  • 등록 2012-05-30 오후 2:59:28

    수정 2012-05-30 오후 2:59:28

[이데일리 스타in 정철우 기자] 140km를 겨우 넘기는 최고 구속이지만 제구력이 괜찮음. 여기에 슬라이더나 스플리터(혹은 체인지업)가 나름 안정적인 좌완 투수. 올시즌 넥센에서 뛰고 있는 밴 헤켄에 대한 간략한 평가다. 놀라울 것은 없지만 이 평가에는 이름만 바꿔 놓아도 좋을 투수가 한명 있다. 2년 전 넥센에서 활약한 바 있는 번사이드가 주인공이다. 그 역시 빠르지 않은 직구였지만 완급조절과 변화구로 무장한 투수였다.

번사이드의 2010시즌 성적은 10승10패. 두자릿수 승리를 거둔 투수와 재계약하지 않는다는 건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그러나 그의 높은 평균자책점(5.34), 그리고 우리가 외국인 선수에게 기대하고 있는 압도적인 구위가 없다는 점은 결국 번사이드가 다시 한국 땅을 밟는데 걸림돌이 됐다.

지난해엔 공격력 강화를 위해 알드리지를 택했지만 올시즌엔 다시 투수로 선회했다. 그리고 선택을 받은 선수가 바로 벤 해켄이다.

여기서 의문 한가지. 평균 자책점이 높기는 했지만 그래도 10승 투수를 외면하고 데려오는 선수라면 뭔가 확실히 다른 무언가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스카우팅 리포트만 놓고 보면 헤켄과 번사이드는 별반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

그러나 결과는 다른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아직 시즌 초반이지만 해켄은 `번사이드의 업그레이드 버전` 노릇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10일 현재 5경기에 등판, 2승1패, 평균 자책점 2.67. 5경기 중 1경기를 제외하곤 모두 퀄리티스타트를 해냈다. 6회 이전에 내려간 것도 단 한차례에 불과하다. 1.25의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과 2할3푼4리의 피안타율은 모두 안정감의 상징적 수치다.

득점 지원이 부족했던 탓에 승수를 많이 쌓지는 못했지만 꾸준히 등판 간격을 지켜내며 나이트와 함께 든든한 원.투 펀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9번 등판 중 무려 19번이나 6회 이전에 강판된 번사이드에 비해 활용도가 크게 높은 투수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헤켄의 무엇이 성공적인 리그 적응을 이끌고 있는 것일까. 해답은 `낯설음`에 있다.

헤켄의 투구 유형은 번사이드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투구폼에서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번사이드는 팔 스윙의 궤적을 크게 하기 보다는 짧고 빠르게 가져가는데 중점을 둔 투수다. 한국에서도 그런 유형은 찾아볼 수 있다.

반면 헤켄은 교과서적인 정통파 투수다. 직각으로 내리찍듯이 팔이 나온다. 한국에선 매우 찾기 힘든 좌완 정통파 투수다. 키도 커서 타자들이 보는 각도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많이 보지 못했던 궤적으로 공이 무릎쪽을 파고들게되면 쉽게 방망이가 나올 수 없다.

윤석환 SBSESPN 해설위원은 "우리 좌완 투수들은 좌타자의 바깥쪽 공략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조금씩 팔 궤적을 옆으로 내리고 있는 추세다. 좌완 정통파를 찾기 힘든 이유"라며 "팔을 내리면 좌타자 몸쪽 승부는 힘들다. 자칫 가운데로 몰릴 가능성이 높아서다. 하지만 해켄은 좌타자 몸쪽 공략이 가능한 폼이다. 특히 무릎쪽 제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구위 이상의 성적이 나오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타자들은 "공을 끝까지 보고 친다"고 하지만 실제 홈 플레이트 앞에서 판단하며 칠 수는 없다. 공이 투수의 손을 떠나는 순간 이미 타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때문에 투수의 팔 궤적은 승부의 매우 중요한 요소다. 헤켄이 우리 타자들이 쉽게 대해보지 못한 궤적을 갖고 있다는 것은 그래서 더 큰 의미가 있다.

과연 헤켄이 이 낯설음을 언제까지 활용할 수 있을지, 또 우리 타자들이 언제쯤 적응력을 보일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박살 난 벽에 태극기
  • 초췌한 尹
  • 尹대통령 체포
  • 3중막 뚫었다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