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은 청와대가 일방적으로 문성현 노사정위원장과 산별 및 사업장 노조 대표들도 초청했다며 불참 이유를 내세웠다. 지도부 선거를 앞둔 민노총 내부의 알력이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아무래도 문재인 정권 탄생의 일등공신을 자처하며 내민 ‘촛불 청구서’의 성격이 강해 보인다. 불법·폭력 시위로 대법원 확정판결까지 받은 한상균 민노총위원장이 떡하니 감방에 앉아 문 대통령과 맞장 토론을 요구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문 대통령은 집권 이후 주변의 적잖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친(親)노동 정책 기조를 유지해 왔다. ‘노동존중 사회’라는 핵심 국정목표도 내걸었다. 고용노동부 장관과 노사정위원장을 비롯해 정부 산하기관장 등에 노동계 인사를 대거 발탁하고 최저임금 대폭 인상,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양대 노동지침 폐지 등을 밀어붙인 게 그런 사례들이다.
이제는 노동계가 화답하고 나서야 할 때다. 노조의 강력한 영향력과 함께 막중한 사회적 책임을 직시하고 문 대통령의 대화재개 노력에 몽니를 부려선 안 된다. 특히 민노총은 노조조직률이 3%대까지 떨어진 주요 원인이 과격 정치투쟁에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노동운동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문 대통령도 자꾸 노동계에 끌려다니는 듯한 모습에서 벗어나 노조와 기업활동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맞춰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