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국내 2위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요기요와 국내 최대 e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인 이베이코리아 매각전이 공식화한 가운데 이달 본입찰에 나서는 W컨셉과 잡코리아 매각전 흥행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고객 데이터가 자산’인 온라인 사업자인데다 해당 업계에서 의미 있는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상황에서 여러모로 비교 잣대가 될 것이라는 평가 때문이다. 요기요·이베이코리아 모두 매각 전부터 밸류에이션(기업가치)이 출렁이는 가운데 W컨셉과 잡코리아가 참고 대상이 될 수 있어 어떤 평가 속에 매각전을 끝낼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 [표=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요기요 운영사인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DHK)는 모건스탠리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요기요 매각에 돌입한 상태다. 잠재 원매자들을 대상으로 매물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참여 의지 등을 알아보는 태핑(수요조사) 작업을 설 연후 전후로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이베이코리아 역시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를 매각 주관사로 정하고 원매자 물색에 한창으로 알려졌다.
공교롭게도 두 업체 모두 기업가치를 두고 평가가 엇갈리는 상황이다. 요기요는 매각 소식 초반 밸류에이션이 2조원으로 평가받았지만 최근 배달앱 시장 경쟁 격화와 애매한 포지션을 이유로 2조원이 가능하냐는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이다. 급기야 일각에서는 밸류에이션이 1조원 밑으로 떨어졌다는 얘기마저 나오고 있다.
매각가만 5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이베이코리아도 성장세가 멈춘데다 최근 배송 시장 ‘핫 키워드’로 떠오른 식료품 분야에 대한 강점이 없어 ‘5조원은 힘들다’는 견해가 적지 않다. 반면 원매자가 구체화된 것도 아니고 협상에 돌입하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가치에 대한 평가는 시기상조라는 반론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이달 본입찰에 나설 W컨셉과 잡코리아 매각전을 눈여겨보고 있다. 고객 데이터 기반 온라인 사업자로 해당 업계 1~2위 포지션을 가진 점 등을 비춰봤을 때 요기요와 이베이코리아 매각전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어서다. 실사를 통해 회사 안팎의 사정을 확인한 원매자들과 매각 측 매각가격이 어느정도의 차이를 보일 것인지가 핵심이다.
W컨셉을 보유한 IMM 프라이빗에쿼티(PE)는 설 연휴를 전후해 W컨셉 본입찰을 실시할 계획이다. 11번가와
CJ ENM(035760), 롯데쇼핑, 쓱닷컴(SSG닷컴) 등 e커머스 업체를 비롯한 유통업체들 다수가 입찰을 준비 중으로 알려졌다. 잡코리아도 이달 중 본입찰에 나설 전망이다. MBK파트너스 등 약 6~7곳의 국내외 원매자들이 숏리스트에 선정돼 상세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기반 플랫폼 사업이다 보니 데이터에 대한 밸류를 얼마나 줄 것이냐가 중요하다”며 “영업이익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시장 내 경쟁이 커지는 상황도 비슷해 여러모로 참고할 요소가 적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