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의 눈] 코로나가 일깨운 '배후공간'

  • 등록 2020-05-27 오전 5:32:00

    수정 2020-05-27 오전 5:32:00

[이데일리 안승찬 기자]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은 “권력이 높아질수록 공간은 넓어진다”고 말한다. 실제로도 그렇다. 회사 말단 직원의 책상은 다닥다닥 붙어 있지만, 사장님 방은 휑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넓다. 열댓 명이 쓸 수 있는 공간을 사장님 혼자 독차지한다. 공간과 권력은 정비례 관계에 있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에서도 빈부의 격차는 공간의 차이로 드러난다. 부잣집은 거실도 넓고 방도 많고 마당도 넓다. 심지어 숨겨진 지하실까지 있다. 공간이 넘친다. 가난한 집은 비좁은 반지하다. 부잣집 가족들이 캠핑을 떠나고 집을 비우자, 가난한 집 아들 기우가 가장 먼저 한 일은 넓은 집 앞 정원에 홀로 눕는 일이었다. 가난한 집 딸 기정은 혼자 욕조에 들어가 목욕을 즐겼다. 이들에게 필요한 건 자신만의 사적 공간이었다.

영화 <기생충>에 등장하는 박 사장(이선균)의 집
공간은 행복과도 관계가 있다는 게 학자들의 주장이다. 감옥이나 수용소의 삶이 고통스러운 이유는 자신만의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나치 치하에서 유대인 강제수용소에 갇혔던 심리학자 베텔하임은 수용소 생활의 가장 큰 고통으로 ‘배후 공간의 부족’을 들었다. 모든 것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공간은 인간의 삶을 신경질적이고 피폐하게 만든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또 다른 의미에서 공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생존의 문제다.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바이러스의 감염을 걱정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 그런데 거리두기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콩나물시루처럼 빽빽한 지하철을 타야 하는 사람들에게 주어진 공간은 많지 않다. 이들은 겨우 자신의 입과 코를 가린 마스크에 의존해 위태로운 출근길에 나선다. 싱가포르에서 외국인 노동자의 기숙사가 코로나 감염의 온상이 된 건 우연이 아니다. 공간이 없는 사람들에게 코로나19는 더욱 가혹한 질병이다. 김우창 고려대 명예교수가 근본적인 복지국가를 위해선 “공간을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이유다.

땅은 한계가 뚜렷한 자원이다. 이제 와서 땅을 조각조각 나눠주자는 혁명적인 주장을 펼 수도 없는 일이다. 그래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일이다. 공간에 시간의 차이를 두는 것도 한 방법이다. 교실을 갑자기 두배로 넓힐 수 없으니, 예전처럼 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눠서 운영하는 식이다.

코로나 이후 기업들이 도입하는 재택근무도 공간의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 집에서 근무하는 순간 우리는 사적인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모두가 출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면 지하철이 ‘지옥철’로 변하는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물론 재택근무의 생산성이 생각보다 높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많다.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는 “창의성은 우연한 만남에서 나온다”고 했다. 만나지 않고 각자 집에서 일하는 방식이 더 효율적인 건 아니다.

그럼에도 미국의 트위터는 “영원히 재택근무를 해도 좋다”고 선언했고, 롯데그룹도 코로나와 무관하게 일주일에 한번씩 의무적인 재택근무를 도입키로 했다. 재택근무와 같은 유연한 근무형태를 채택하는 기업은 갈수록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많은 것들을 바꿔 놓고 있다. 근무형태의 변화는 공간을 바꾸고, 공간은 각자의 삶에도 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같이 좀 씁시다
  • 나는 나비
  • 천산가?
  • 우린 가족♥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