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적으로도 올해는 지원자 숫자가 대학 정원에 못 미치는 첫 해로 기록될 것 같다고 한다. 대학 정원은 49만 5000여명이나 고3 재학생과 재수생 등 대입가능 자원은 47만 9000여명으로 1만 5000여명이 부족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2024학년도에는 12만 3000여명이 미충원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정도다.
한때 “벚꽃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말이 돌았던 지방 대학가에서 요즘은 “벚꽃피는 순서 상관없이 다 망한다”는 한탄이 나올만 하다. 등록금 면제, 기숙사 무료 등 다양한 혜택을 앞세워도 정원을 채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수도권 일부 대학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부실 대학들의 다수가 사학이어서 인위적으로 폐교시킬 수 없는 한계는 있다. 법적인 문제점도 있지만 정부 스스로 대학 개혁에 느슨한 자세여서 구조 개혁이 적시에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런 분위기 탓에 현 정부 들어 경영난 등으로 폐교된 대학은 5개 대학 뿐이다.
학생이 없는 대학은 존재 이유가 없다. 폐교의 경우 남은 교직원과 학생의 문제, 지역 사회 영향 등 부작용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막대한 혈세를 지원해 부실 대학을 유지시키는 것도 명분이 없다. 위기의 대학을 살리기 위한 보다 과단성있는 정책이 교육부에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