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WC로 입지 급추락 ‘사면초가’
박주영에게 2014 브라질 월드컵은 뼈아픈 기억으로 통한다. 이미 아스널에서 이렇다 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해 내리막길을 걸었지만, 브라질 월드컵에서의 미비한 존재감은 그의 기량 하락을 확실히 입증해 줬다. 러시아, 알제리전 최전방에 기용된 박주영은 제대로 된 슈팅을 한 차례도 날리지 못했다.
한때 국내 축구대표팀 원톱으로 집중 조명을 받던 박주영의 입지는 브라질 월드컵 직후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졌다. 지난 2011년 아스널 이적 당시 그의 몸값은 500만 파운드(약 87억 원)였다. 이는 AS 모나코 시절 출중한 기량을 보인 게 크게 작용했다.
|
◇ 무적(無敵)에서 무적(無籍)으로
상승세를 타고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명문 클럽 아스널로 전격 이적한 박주영은 그러나 팀 내부 주전 경쟁에서 밀리면서 좀처럼 출전 기회를 확보하지 못했다. 그는 2012년 1년간 셀타 데 비고에서 임대로 뛴 후 2013-2014시즌 아스널로 복귀했지만, 한 경기도 그라운드에 나서지 못했다. 이후 왓포드로 재임대됐으나 고작 2경기에 출전해 무득점에 그쳤다.
중동行 or 지도자 활동 ‘선택의 기로’
‘무적(無敵)’에 가까웠던 그의 기량은 현저하게 떨어진 상태다. 지금은 몇몇 중동 클럽을 제외하곤 불러주는 곳도 없다. 박주영은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 마지막 카드는 중동行이다. ‘무적(無籍)’ 신세를 벗어나 자신의 가치를 입증할 시간을 갖는 게 급선무다. 무적 기간이 길어질 경우 군 문제도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지난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군 면제 혜택을 받은 박주영은 ‘기초군사훈련 후 34개월 간 선수나 지도자로 활동해야 한다’는 규정에 위반될 수 있어 하루빨리 무적 신세를 벗어나야 하는 처지다. 그러나 박주영은 중동行에 별다른 관심을 나타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그가 지도자로 활동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선택은 본인이 하는 것이지만, 중동行 카드가 현재로서 최선책으로 보인다. 그의 가치가 급등하기 위해선 아스널과 브라질 월드컵에서의 부진을 씻을 기회가 필요하다. 출전 기회가 확보되는 중동 클럽으로 간 후 기량을 다시 검증 받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차후 빅리그로의 이적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나 카타르 등 중동권 이적시장의 마감시한은 9월 중순. 박주영은 빅리그 이적만을 고집하고 있지만, 초심으로 다가가 자신의 기량을 증명하고 다음 스텝을 노리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판단된다.
▶ 관련기사 ◀
☞ ESPN "도르트문트가 카가와의 고통 끝냈다"
☞ ‘무적(無敵)→무적(無籍)’ 박주영의 앞날은?
☞ ‘이적’ 블린트, 침몰하는 판 할호의 구세주될까
☞ ‘힙후퍼’ 안희욱 “농구계 YG 설립 꿈꾼다” (인터뷰)
☞ 日 언론 “아사다 연예계 진출시, 100억엔 효과”
☞ 정성룡·박주영 등 'WC 최악의 150인' 불명예
☞ [브라질 2014] 美 언론 “‘IQ 150’ 박주영, 아스널-대표팀 다른 활약”
☞ [브라질 2014] ‘아스널 판단 정확?’ 외신 “박주영, 원톱 자질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