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AFP |
|
[뉴욕=이데일리 이준기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사진 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마침내 ‘탄핵 위기’에 봉착했다. 이른바 ‘우크라이나 스캔들’을 이유로 야당인 민주당이 탄핵 조사에 본격 착수하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추진은 내년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 정가에 ‘태풍의 눈’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미국 대통령이라는 존재감만으로도 미 정치권은 물론, 외교·안보, 세계 경제에 미치는 파장도 만만찮을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스캔들의 진원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크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녹취록’을 공개하는 승부수를 던지며 맞불을 놨다.
그동안 탄핵론에 신중함을 견지해왔던 민주당 내 서열 1위인 낸시 펠로시
(왼쪽) 미 의회 하원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상과의 부당한 통화로 헌법적 책무를 저버렸다”고 비난한 뒤, “하원이 트럼프 대통령 탄핵 여부에 대한 공식 조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우크라이나 스캔들은 앞서 뉴욕타임스(NYT)·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주요 언론들이 정보당국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25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바이든과 그의 아들 헌터에 대해 조사할 것을 압박했다고 보도하면서 불거졌다. 당시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바이든 부패 의혹’과 관련, 자신의 개인 변호사인 루돌프 줄리아니와 협력하라고 거듭 요구했다는 것이다. 특히 통화 며칠 전 미국의 군사 원조 중단 카드를 무기로 우크라이나 측을 압박했다는 새로운 의혹까지 최근 불거지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궁지로 몰아넣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기한 바이든 부패 의혹은 그가 미 부통령으로 재직 중이던 2016년 3월 헌터와 관련된 우크라이나 현지 에너지 기업 ‘부리스홀딩스’에 대한 검찰조사를 막고자 당시 우크라이나 대통령 측에 검찰총장 해임을 요구했고, 이를 거부할 경우 10억달러 규모의 미 정부의 대출보증을 보류하겠다고 위협했다는 게 핵심이다. 당시 헌터는 2014년 4월부터 부리스마홀딩스 이사로 재직해왔다. 바이든 의혹 때문인지는 모르지만, 당시 빅토르 쇼킨 검찰총장은 실제 물러났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나는 지금 나라를 대표해 유엔에 있지만,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이 담긴 온전하고, 기밀이 해제되고, 수정되지 않은 녹취록을 내일 공개하는 것을 승인했다”며 승부수를 띄웠다. 그러면서 “여러분은 이 통화가 아주 친근하고 완벽하게 적절했음을 알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민주당 소속 하원 의원 235명 가운데 탄핵 추진에 찬성하는 의원이 150명을 넘어섰다고 썼다. 민주당 내 유력 대선주자이자, 우크라이나 스캔들의 핵심 인물이기도 한 바이든 전 부통령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 조사에 전적으로 응하지 않을 경우 의회가 탄핵 절차를 시작해야 한다”고 트럼프 탄핵 추진에 힘을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