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니버스 기술을 활용하면 가상자산(암호화폐) 채굴 과정 없이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람다256은 권한증명(PoA·Proof of Authority)의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을 적용해 이같은 신기술을 자체 개발했다. 람다256에 따르면 이를 통해 1년 동안 소비하는 전력량은 842.53kWh로, 미국 가정에서 한 달간 사용하는 전력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술이 연간 소모하는 전력량과 비교하면 100만분의 1 수준이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지난 13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미술 등 팬덤이 있는 3가지 분야에서 NFT를 공략하고 메타버스에도 진출한다”고 말했다. 그는 “BTS NFT는 친환경 저탄소 기술을 이용한 것”이라며 “NFT가 모두 환경에 안 좋은 것은 아니다. 앞으로 이 같은 설명을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람다256은 포항공대를 졸업한 뒤 삼성전자(005930), SK텔레콤(017670) 등을 거친 IT전문가 박재현 씨가 대표를 맡고 있다. 람다256 관계자는 “루니버스 블록체인 기술로 소모되는 전력은 한 세대가 1년간 사용하는 양의 8%밖에 되지 않는다”며 “이 기술로 발행되는 NFT는 친환경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