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올해는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했던 2020년보다도 어려울 수 있다”며 “올해 닥친 세계 경제의 특이점인 국가 간 경기 차별화 때문”이라고 짚었다.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됐을 땐 전 국가가 같은 문제에 빠져 한 가지 해법이 존재했지만, 지금은 서로 다른 경기 상황을 고려해 각기 다른 정교한 처방을 내려야 한단 것이다.
게오르기에바가 가장 우려하는 부문은 달러 부채 수준이 높은 저소득 국가다. 현재 저소득 국가의 3분의 2가 부채 곤경(debt distress)에 빠져 있는 상태로, 이는 2015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그는 달러 부채가 많은 국가들에 “만기를 연장할 수 있다면 지금 행동해야 한다”며 “통화 불일치(달러와 자국 통화 가치가 최근 급격하게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면 이를 해결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다만 게오르기에바 총재가 연준이 금리 상승을 멈춰야 한다고 요구한 것은 아니다. 그는 긴축 전환 시 시장과의 소통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리를 올리되 시장이 전혀 예상치 못한 강도와 예기치 못했던 시점에 진행해선 안 된다고 강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