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직원수는 총 6만9751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18년 말(7만4195명)과 비교하면 4444명 감소한 규모로 매년 1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줄어든 셈이다.
4년간 직원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은행은 우리은행(1만5389→1만3913명)과 하나은행(1만3229→1만1753명)으로 각각 1476명 줄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1만3995명에서 1만3604명으로 391명 줄었고, 농협은행은 1만3511명에서 1만3503명으로 8명 감소했다. 지난해 말 5대 은행의 임원 수는 142명으로 2018년 말과 비교해 변동이 없었다.
은행 직원수는 감소세를 지속했지만 지난해 금리 인상기를 맞아 은행권이 사상 최대 수익을 올리면서 1인당 및 점포당 생산성은 크게 높아졌다. 지난해 국민은행이 5조1499억원의 충당금 적립전 이익을 기록했고, 신한은행(4조7201억원), 하나은행(4조4675억원), 우리은행(4조2369억원) 등도 4조원대로 집계됐다. 농협은행은 3조6865억원의 충당금 적립전 이익(농업지원사업비 부담전 기준)을 올렸다.
이에 따라 충당금 적립전 이익에서 직원 수를 나눈 1인당 생산성은 하나은행 3억8000만원, 신한은행 3억4700만원, 우리은행 3억500만원, 국민은행 3억300만원, 농협은행 2억7300만원 등을 기록했다. 2018년 이들 은행의 1인당 생산성이 2억원 안팎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대폭 높아진 셈이다. 점포를 급격히 줄이면서 점포당 생산성(충당금 적립전 이익/점포 수)도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