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5G와 IoT(차세대통신), AI, 자율주행차, 맞춤형헬스케어, 스마트시티, 가상증강현실, 신재생에너지, 지능형로봇, 드론(무인기), 첨단소재, 지능형반도체, 혁신신약 등 13대 분야인데, 정부는 내년에만 총 1.56조 원을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22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위원장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정부는 내년에 1.56조 원을 지원하는 것과 함께,2018~2022년까지 총 7.96조 원의 정부 연구개발 투자 등을 통해 2025년경까지 55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
|
스마티시티, 가상증강현실, 신재생에너지는 산학연 공동의 대형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지능형로봇, 드론(무인기)역시 국가·공공기관의 구매·활용을 통해, 초기 적용실적(Track-record) 확보를 지원한다.
차세대통신, 지능형반도체 등은 국제표준화 추진
차세대통신(5G·IoT), 첨단소재, 지능형반도체는 산업분야 적용을 위한 융합 제품·서비스 개발과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
혁신신약, 인공지능은 지속적인 원천연구를 지원하고 혁신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환경 개선을 추진한다.
내년 후보기술은 스마트공장, 블록체인 등
정부는 환경변화를 고려해 범부처적으로 육성이 필요한 혁신성장동력 후보과제를 정기적으로 발굴하기로 했다.
2018년 후보과제로는 스마트공장, 스마트농업, 자율운항선박, 블록체인을 발굴했으며, 내년 3월까지 상세 기획을 하게 된다.
|
혁신성장동력의 국민체감을 높이고 재난·안전 영역 활용도 확대하기로 했다.
임대식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들이 자금을 쌓아두지 않고,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에 투자 할 수 있도록 하는 확실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며 “혁신성장동력이 혁신성장을 견인하고, 제4차 산업혁명, I-KOREA 4.0 등을 선도하려면 부처 간 협업과 민관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는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바탕으로 분야별 계획을 구체화해서 내년 3월까지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