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을지대 노원병원과 을지대 빅데이터의료융합학과 박주용 교수팀(예방의학)이 2001년 ~2018년 질병관리청의 KoGES(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연구에 참여한 40~69세(연구 시작 당시) 남녀 6,592명(이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는 5,266명,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지만 간 섬유화가 없는 1,326명)을 대상으로 커피와 간 건강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Different Associations of Coffee Consumption with the Risk of Incident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and Advanced Liver Fibrosis)는 국제 학술지 ‘뉴트리언츠’(Nutrients)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 개시 때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던 5,266명 중 43.6%(2,298명)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을 받았다(추적 기간 11.6년). 커피를 얼마나 마시느냐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률과는 이렇다 할 관련이 없었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커피 섭취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의 심한 간 섬유화 발생을 억제하거나 개선했지만, 이전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없던 사람의 지방간 발병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우리 연구의 결론”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동물 연구에선, 커피가 간 지방 산화, 장내 콜레스테롤 유출, 에너지 대사, 장내 미생물군에 영향을 미쳐 고지방식을 한 흰쥐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