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원인 A씨는 “동생은 기저질환 없이 건강했다”며 “저희 가정에 가장이자 효심 깊은 아이였고 정말 너무나도 착한 저희 가족에게는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자 동생이었다”고 운을 뗐다.
A씨에 따르면 동생 B씨는 지난해 10월 25일 모더나 백신을 2차 접종한 뒤 2달 만인 12월 19일 갑작스러운 심정지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
또한 A씨는 “부검 1차 결과는 심근경색과 심혈관 막힘으로 소견이 나왔고 2차 부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며 “정부에서는 아무런 책임도 져주질 않는다. 저희뿐만 아니라 가족을 잃은 많은 유족분들이 많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저희가족은 하루도 편히 잠을 잘 수도 숨을 쉴 수도 없다.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제 동생을 볼 수 없다는 것이 가슴에 한으로 남아 평생을 가슴에 묻고 살아가야 한다”며 “더 많은 희생자들이 나오기 전에 정부는 백신 그만 멈춰주시고 백신 후유증으로 피해입은 많은 피해자분들 진실규명 보상 해주셔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정부가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유효기간제를 시행하면서 기본접종후 6개월(180일)이 지났을 때 3차 접종을 해야 접종 완료자로 인정받게 됐다.
이처럼 3차 백신 접종이 필수가 됐지만 백신 이상반응에 대한 인과성을 판정받기가 어렵다는 지적과 함께 추가접종(부스터샷)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백신 접종 예외 적용 인정 폭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정부는 방역패스 관련 논란이 계속되자 백신 접종 예외 대상을 확대하는 등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