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등 제조업 생산이 1.2% 줄어들면서 생산 위축을 견인했다. 반도체조립장비, 디스플레이제조용기계 등 생산이 감소하면서 기계장비 생산은 6.9% 감소했다. 특히 반도체 생산은 3월 35.1% 깜짝 증가세를 보였지만, 지난달에는 0.5% 증가에 그쳤다. 전년동월대비로는 20.2% 감소했다. 의약품도 해외 수탁물량 감소 영향으로 전월보다 8% 감소했다.
반면 제조업 재고는 반도체, 석유정제 등에서 늘어 전월대비 6.2%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율은 130.4%로 1985년 관련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재고는 전월보다 31.5% 증가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보다 출하가 더 많이 감소하면서 재고가 큰 폭으로 늘었다”면서 “반도체의 경우 생산은 0.5% 증가했지만 출하 감소폭(-20.3%)이 커서 재고비율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1분기 경기 부진을 완화해줬던 소비도 전월대비 2.3% 감소했다. 지난해 11월(-2.3%) 이후 최대폭 감소다. 2월 의류 구입이 많았던 기저 효과로 의복 등 준내구재(-6.3%) 판매가 많이 줄었다. 또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2%), 통신기기 및 컴퓨터 등 내구재(-1.7%)에서도 판매가 줄었다.
김 심의관은 서비스업생산과 소매판매가 줄어든 배경에 대해 “서비스업은 최근 회복했지만 소매판매는 코로나19 이후 서비스 쪽으로 소비가 이동하며 좋은 상태는 아닌 것 같다”고 진단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2월 상승 전환한 이후 3개월 연속 상승세다. 반면 향후 경기 흐름을 나타내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하면서 지난해 11월부터 6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
김 심의관은 “최근 경기흐름이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상으로는 올라가고 있는데 전망 부분이 불투명한 것 같다”면서 “정부에서도 (경기 흐름을) ‘상저하고(上低下高)’로 전망했는데 올라가는 시점에 대해 불확실한 부분이 많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