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내년 5월 중 운영 개시를 목표로 이런 대출이동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최근 금리상승으로 인한 금융소비자 이자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지난 1년여간 총 7회, 2.25%포인트 인상됐다.
현재 대출 갈아타기는 지점 방문을 통해서 대부분 하고 있어 불편하다. 온라인에서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이미 존재하지만 제한된 수의 핀테크사 플랫폼만 있는 실정이라 쓰임새가 떨어진다. 여기에 입점해 있는 은행 대출 역시 적다. 실제 현재 대환대출 전용 상품 취급 은행은 10개 대출비교 플랫폼 내 3개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개인대출을 대상으로 은행, 저축은행, 여전사(카드·캐피탈)가 참여하는 온라인상의 대출이동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금융회사 간 상환 요청, 필요정보 제공, 최종 상환 확인 등 상환절차를 금융결제원 망을 통해 중계하고 전산화하는 시스템 건설에 착수한다.
대환할 수 있는 대상 대출은 마이너스통장, 직장인대출, 카드론 등 개인 신용대출이다. 주택담보대출 등 담보대출은 담보권 이전절차를 온라인으로 구현하기 곤란해 대환 대상에서 제외했다. 기업대출 역시 현장심사와 사업성 평가 등 심사절차가 복잡해 갈아타기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당국은 또 대출 비교 및 갈아타기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확한 각종 수수료 등 기존대출 정보를 기존 플랫폼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시중 플랫폼에서는 원리금 정보 등 개략적인 정보만 제공하는 있는 형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플랫폼 간 경쟁으로 비교추천 서비스의 질이 제고되고, 플랫폼을 운영하게 된 금융회사의 상품 공급이 증가할 것”이라며 “충분한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통해 소비자의 편익이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