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제8차 협의회에서는 각 경제자유구역이 핵심전략산업을 중심으로 발전계획을 수립해 신성장동력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수 있도록 공동 노력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각 경제자유구역청은 핵심전략산업을 중심으로 국·내외 앵커기업 유치, 혁신생태계 조성 계획 등을 포함한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그간 기반시설 중심의 지원시책을 앞으로 신산업 발굴·지원을 위한 기업 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번 협의회에서 산업부는 지난해 말 기준 경제자유구역 입주사업체 실태조사 결과와 올해 경제자유구역 FDI 유치실적 전망을 발표하고 통계에 기반을 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수립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부는 경제자유구역 입주기업의 수요에 따른 맞춤형 지원과 혁신성장을 돕기 위해 올해부터 착수한 ‘경제자유구역 혁신생태계 조성사업’의 내년도 시행방안을 발표하고 지역혁신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내년에는 10개 내외의 지원기관을 선정해 경제자유구역 내 특정 산업분야의 혁신생태계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 지원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년도 사업을 2개년 사업으로 개선하고 혁신클러스터 구축과 기업비즈니스 지원을 연계해 사업화, 기술지원, 신기술 컨설팅 등 종합적 기업수요를 반영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지난 5월 규제혁신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고 산업기술진흥원과 9개 경제자유구역청 간 업무협약을 통해 규제샌드박스 수요기업에 대한 경제자유구역청의 지원체계를 구축한 성과를 소개했다. 혁신생태계 조성사업으로 지원하는 산·학·연 협의체를 활용해 규제혁신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황수성 산업부 산업혁신성장실장은 “지금까지 우리 경제자유구역은 개발·외자 유치 중심으로 개발률 90%, 누적 FDI 199억달러를 달성했는데 이러한 성과를 발판으로 경제자유구역이 신산업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혁신생태계 조성과 경제자유구역청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며 “경제자유구역별로 여건과 특성에 맞는 신산업 육성과 규제혁신에 더욱 매진해 혁신생태계 구축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