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접종 시기에 대해서도 ‘지켜보다가 맞겠다’는 응답 비율이 59.9%로, ‘빨리 맞겠다’고 응답한 37.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에 대한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이었다. ‘나는 대부분의 백신을 신뢰하지 않는다’, ‘나는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체계를 신뢰하지 않는다’, ‘백신이 안전하고 효율적이라고 확신할 정도로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에 대해 ‘그렇다’고 답한 비율이 각각 32.5%, 21.5%, 46.3%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낮은 비율을 보였다.
‘코로나19 백신을 (무조건+아마도) 맞을 것’이라는 응답도 80.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백신 접종을 절대 받지 않겠다’는 응답은 1.8%에 그쳤다. 상대적으로 미국에서는 같은 문항에 대한 응답률이 13.4%에 달했다.
상용화되는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 실험에 대한 의견은 반으로 갈렸다. ‘적절한 시험을 거쳤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는 응답자가 50.3%였으나, ‘확신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한 사람도 43.6%에 달했다. 특히 백신 배분의 공정성도 ‘확신하지 않는다’가 50.9%로 ‘확신한다’(43.6%)보다 많았다.
유명순 교수는 “‘정책 최종 성적은 종합 평가로 나온다’는 태도로 국민의 의향, 태도, 경험을 다각도로 파악하고 반영하려는 노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