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자는 10일 장관 내정 후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그간 정책일선에서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인구, 가족, 아동 문제를 챙기며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젠더갈등과 청년세대의 어려움을 풀어나갈 수 있는 부처의 새로운 역할을 정립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겸손하고 낮은 자세로 국민들과 소통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지혜를 모으겠다”면서 “앞으로 있을 국회 인사청문회를 성실히 준비하겠다”고 전했다.
윤석열 당선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김 후보자에 대해 “이번 선거 과정에서 영유아 보육, 초등 돌봄 등 사각지대 없는 수요맞춤형 육아 지원 정책을 포함한 가족 정책을 설계해왔다”며 “처음부터 저와 함께 공약의 밑그림을 그린 만큼 공약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인구 대책과 가족 정책을 중점적으로 다뤄나갈 것”이라고 기대했다.
비례대표 의원으로 정치권에 입문한 뒤 줄곧 당 공무원연금제도개혁 태스크포스(TF), 국회 공무원연금개혁특위 국민대타협기구 위원 등으로 일하면서 박근혜 정부의 대표 개혁과제였던 공무원연금 개혁안 처리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박근혜 정부에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부터 여성·문화 분과 인수위원으로 발탁돼 여성 정책을 설계·입안했다.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으로 일할 당시엔 노동개혁 법안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왔다. 하지만 해당 법안이 국회 상임위 문턱도 넘지 못하자 브리핑을 자처해 “일자리 창출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듯이 노동개혁에도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고 말한 뒤 울음을 터뜨린 일도 있다.
2017년부터는 과거 교편을 잡았던 숭실대 경제학과로 돌아갔다. 이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경선 캠프 시절부터 경제·사회·복지 등 전반에 걸쳐 깊이 있는 정책 지원을 해왔다.
△충북 청주(56) △청주 일신여고 △서울대 경제학과 △일리노이대 경제학 박사 △한국조세연구원 연구위원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 △19대 국회의원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새누리당 간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 △대통령 고용복지수석비서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정책특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