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은 10월1~20일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이 338억4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 늘었다고 밝혔다.
|
그러나 10월 들어 반등 흐름이다. 20일까지의 조업일수가 지난해보다 0.5일 적었음에도 수출액이 늘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日)평균 수출액 증가율(8.6%)은 수치상 증가율(4.6%)보다 더 높다. 이 추세라면 월간으로도 13개월만의 수출 플러스 전환 가능성이 크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과 맞물려 석유제품 수출액(35억7000만달러)이 14.5% 늘었고, 올해 수출 부진을 떠받쳤던 승용차 수출액(33억달러)도 전년대비 24.7% 늘며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선박(16억2000만달러) 수출도 전년대비 63.0% 늘었다. 국가별로도 2대 수출 상대국인 대미국 수출액(57억9000만달러)이 12.7% 늘면서 수출 플러스를 주도했다. 대베트남(31억6000만달러), 대일본(16억7000만달러) 수출액도 전년대비 각각 0.6%, 20.0% 늘었다.
10월 무역수지는 5개월 만에 월간 적자 가능성이 커졌다. 20일까지지 37억5000만달러 적자다.
8월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한 국제유가 영향이다. 이 기간 최대 수입품목인 원유 수입액(62억2000만달러)이 전년대비 30.5% 늘었다. 이에 따라 우리 전체 수입액(375억9000만달러)도 전년보다 0.6% 늘었다.
우리나라는 고유가 여파로 지난해 사상 최대 무역적자(472억달러)를 기록했으나 올 6월 흑자 전환했었다. 다만, 또 다른 수입 에너지원인 가스(19억3000만달러)와 석탄(9억7000만달러) 수입액은 전년대비 30.9%, 6.1% 줄며 상대적으로 안정 흐름을 유지했다.
한편 연초부터 10월20일까지의 우리 누적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10.6% 줄어든 4891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액(5216억달러)도 11.8% 줄었으나 지난해 수입액이 워낙 많았던 탓에 누적 무역수지는 234억달러 적자를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