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윤정훈 기자] 우리 군이 이른바 ‘425사업’ 일환으로 개발해온 독자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내일 발사된다.
 |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 우리 군 정찰위성 1호의 모습(사진=국방부) |
|
1일 군 당국에 따르면 군 정찰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민간 우주업체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미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기지 내 발사장에서 기립 작업을 마치고 발사 준비 상황에 대한 최종 점검에 돌입했다.
스페이스X 측은 “1일 오전 10시19분(한국 시간 2일 오전 3시 19분)에 발사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며 “발사 약 15분 전부터 X(옛 트위터)에서 생중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페이스X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흰색으로 도색된 발사체 상단엔 영문으로 ‘KOREA’(한국)와 태극 문양이 새겨져 있다. 당초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기 발사는 지난달 30일로 예정했었으나, 현지 기상 악화 등을 이유로 연기됐다.
 |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 우리 군 정찰위성 1호의 모습(사진=국방부) |
|
425사업은 북한의 주요 전략표적 감시·대응을 위해 우리 군의 독자 정찰위성을 자체 연구개발 등을 통해 확보하는 사업으로서 지난 2018년 시작됐다. 한반도를 둘러싼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은 군사정찰위성을 다수활용하고 있는데 한국은 아직 정찰위성이 없다. 425사업은 이런 우리 군의 정찰감시 능력 강화를 위한 사업이다.
방위사업청과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025년까지 1조 2200억원을 들여 고성능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와 전자광학(EO)·적외선(IR) 장비 탑재 위성 1기 등 총 5기의 고해상도 중대형(800kg급) 군사위성을 궤도에 띄운다는 계획이다.
이번 1호기는 EO·IR 장비 위성이다. SAR 위성인 2호기는 내년 4월 발사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