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대사는 북한이 경제 발전을 위한 확고한 비핵화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비핵화-경제 제재 완화를 함께 하는 단계적·동시적 해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의원들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의문을 표하며 오히려 협상 중에서도 핵 보유국이 되고자 하는 북한의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고 반론했다.
추궈홍 대사는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중관계의 오늘과 내일’ 세미나에 참석해 “북한이 취한 조치와 관련국과의 대화 상황,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관련입장 표현과 행동으로 볼 때 북한은 비핵화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노력을 한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추 대사는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되, 북한이 이미 이행한 비핵화 노력에 대해서 이에 상응한 격려, 지지를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 비핵화 노력에 상응하는 경제적 보상을 해줘야 한다는 발언에 대해 김무성 자유한국당 의원이 반박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추 대사는 북한이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하셨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면서 “북한은 핵무기 소형화를 하는 등 핵 보유국이 되기 위해 나가고 있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절대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추 대사는 “북한이 진정한 핵 포기 의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간에도 견해 차이가 있다”면서도 “북한은 비핵화를 통해 안보를 보장받고 외부 환경을 개선하며 대북 제재 해제를 추진해 경제 발전을 이뤄야 비로소 진정한 평화와 안정, 번영의 미래를 열릴 수 있다는 것을 이미 인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추 대사는 이같은 입장이 북한의 핵 기술 고도화 시간을 늘려줄 뿐이라는 지적을 인식한 듯 “중국 정부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북한이 핵 보유국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을 이 자리에서 재천명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또 그는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1% 희망이 있다면 100% 노력을 통해 북한에 핵을 포기시켜야 한다”며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발걸음을 옮길 수 있도록 우리가 격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