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 금융결제국은 오는 31일까지 지급결제 분야의 디지털 혁신 연구를 담당할 박사급 연구인력 1명에 대한 채용지원서를 받는다.
이 인력은 디지털화폐와 암호자산 등 지급결제 분야의 디지털 혁신 사례와 관련한 기반기술을 연구하게 된다. 분산원장기술(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지급결제시스템 설계·구현과 운영방안도 연구한다.
지난 4일 프랑수아 빌루아 드 갈로 프랑스중앙은행 총재가 내년 1분기 전 CBDC 프로젝트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것이 대표적이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최근 “민간(은행업자들)이 국가간 송금을 더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하지 못 한다면 ECB가 자체적 CBDC를 발행할 수 있다”는 문건을 작성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지난달 초 CBDC 관련 전문가 채용공고를 냈다.
상황이 이렇자 한은도 이 같은 움직임에 발을 맞추려는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는 것이다. 실제 한은 내부에서도 CBDC 관련 논의가 진지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은 올해 1월 당시 CBDC 개발 필요성이 작다고 밝혔는데, 1년도 안 돼 이 같은 방침이 바뀐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내년 1월 인사 때 CBDC 관련 조직개편이 이뤄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