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국내 배터리 제조사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배터리 등 주요 제품의 공급망(Supply chain)을 탈피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하면서 전기자동차(EV) 생산 확대에 따른 배터리 수주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096770)으로선 이번 수입금지 명령이 그대로 시행된다면 향후 수십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 시장을 놓치고 마는 셈이다.
3일 외신 및 재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지난주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LG에너지솔루션과의 배터리 분쟁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을 요청하면서 조지아주 공장 증설에 따른 전기차 생산과 일자리 창출 등을 강조했다. 사실상 지난달 10일(현지시간) ‘미국 내 수입 금지 10년’ 명령을 내린 ITC의 최종 결정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요청한 것이다.
|
하지만 현재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은 파나소닉(테슬라 대상),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AESC-닛산 JV(닛산 대상) 등으로 한정돼 있어 캐파가 큰 CATL, BYD 등 중국 배터리 업체 수입을 막는다면 전기차 생산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
CATL은 특히 2025년까지 약 500GWh 캐파를 목표로 투자 중인데 이는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 배터리 3사를 합산해도 못 따라가는 수준이다. CATL의 캐파 확대 계획에는 미국 투자가 1건도 없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이에 국내 배터리 3사는 이번 바이든 정부의 행정명령이 점진적인 캐파 확대를 통한 수주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 행정부가 급성정하는 배터리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들과의 협력에 적극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SK이노베이션도 수입금지 명령이 번복될 가능성에 희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바이든의 거부권 행사 여부가 결론 난 이후에 LG에너지솔루션과의 손해배상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고 짚었다.
|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바이든의 거부권 행사 여부와 관계없이 협상에 진척이 없을 경우 델라웨이주 연방지방법원을 통해 소송을 이어갈 방침이다. 일반적으로 ITC는 영업비밀 침해 여부와 수입 금지 범위를 판단하고 지방법원은 손해배상 규모를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