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G는 트렌치별로 2년물 1000억원, 3년물 2000억원에 대한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2년물에는 8100억, 3년물에는 1조원이 각각 모였다.
KT&G는 개별 민간채권평가사(민평) 평가금리 대비 -30bp(베이시스포인트, 1bp=0.01%포인트)~+30bp를 가산한 이자율을 제시했다. 2년물은 -10bp, 3년물 -4bp에서 각각 모집 물량을 채우며, 목표 금액까지 언더 발행이 가능할 전망이다.
KT&G는 무차입 경영 기조를 벗어나 사상 처음으로 공모채를 발행한다. 이번 회사채 발행자금을 시설자금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월 발표한 중장기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오는 2027년까지 총 3조9000억원 규모의 시설투자(CAPEX)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3대 핵심사업인 △NGP(궐련형 전자담배·Next Generation Products) △글로벌 궐련 담배 사업 △건강기능식품 사업에 투입될 총 3조원 신규투자와 9000억원의 유지 보수 금액로 구성됐다.
KT&G는 “신규 투자 금액 중 약 2조1000억원은 국내외 NGP와 글로벌 궐련 담배 중장기 수요 대응을 위한 글로벌 생산거점 확보 및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투자될 예정”이라면서 “이번에 조달되는 3000억원은 카자흐스탄 및 인도네시아 신공장 건설을 위한 토지 매입비, 생산 설비 등 관련 유형자산의 취득, 기반 시설 및 안전 설비 구축 등을 위한 투자로 사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경훈 한기평 연구원은 “2023년 이후 대규모 투자가 계획돼 있어 관련 자금 소요가 늘어날 전망”이라면서 “그러나 주력 사업부문의 높은 시장지위와 안정적인 수요기반을 감안할 때 향후에도 견조한 현금창출력을 바탕으로 실질적 무차입구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