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외식산업 거래량은 81억건으로 전년대비 3.3% 늘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펜데믹 이전인 2019년(88억건)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외식산업 매출액이 103조원을 기록하며 2019년(99조원)을 넘어선 것과 대조적이다. 외식 거래 건수보다 객단가 상승이 더 높다는 이야기다.
한 연구원은 “국내 외식산업 성장이 더딘 이유는 전반적인 외식 객단가가 상승했고 간편식 같은 저렴한 대체품류들이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전체 외식산업 평균 거래량 증가율이 3.6%인데 포장 특화·길거리 품목은 11.1%를 기록했고 편의점만 해도 5.5%를 기록하는 등 가성비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는 모습”이라고 했다.
한 연구원은 “뷔페는 이제 더 이상 낮은 가격과 박리다매 방식이 아니라 메뉴, 서비스, 매장 환경 개선 등으로 소비자들에게 경험적인 가치를 주고 있다”며 “뷔페형 매장은 매장 수, 매출액 등 전년대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 연구원은 최근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포장 및 매장 취식 비중이 74%나 증가하는 등 변화하고 있는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에서 한 달에 30파운드 구독 모델을 도입한 ‘프레타망제’ 베이커리와 시간에 대한 비용을 받는 인도의 ‘GVQ’ 카페 등을 예시로 들었다.
그는 “영국 프레타망제는 30파운드 구독 모델을 도입해 하루에 최대 5가지 음료 제공, 메뉴 10% 할인 등을 제공하고 있다”며 “소비자 재방문은 물론 원래 매장의 주력 메뉴인 샌드위치 구매를 유도하는 식인데 국내 커피전문점 산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외식산업은 일반 식품산업과 달리 시장에 즉각 반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소비자들과 직접 대면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만큼 트렌드를 즉시 따라가기도 수월하다는 게 한 연구원의 설명이다.
그는 “소비자들이 즐길거리가 많아짐에 따라 외식업 뿐만 아니라 일상 소비재(FMCG) 산업의 트렌드도 주기가 빨라지고 있다”며 “분기나 1년 계획을 고민하다간 늦는다. 현장 소비자들의 즉각적인 반응이 곧 전략인만큼 적극적으로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만들어 기회를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