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현지시간) 미국 의회는 2024년 회계연도가 시작하는 10월 1일 0시 이전에 예산안을 처리하고 백악관에 넘겨야 하지만 만 닷새도 남지 않은 현재까지 공화당 내부 갈등으로 교착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 의회가 이달 말까지 처리해야 하는 세출법안은 12개로 구분돼 있는데, 현재 단 한 개만 통과된 상태다.
이는 예산 법안 심의 권한을 쥔 하원의 다수당인 공화당 내 강경파들이 당 지도부와 이견을 보이고 있는 탓이다. 지난 5월 바이든 행정부는 케빈 매카시(공화당) 하원의장을 비롯한 공화당 지도부와 대략적인 예산안 규모에 합의를 이뤘지만, 이후 강경파들이 대폭 삭감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예산안 처리가 불투명해졌다. 백악관과 민주당은 이미 5월에 합의를 한 만큼 추가 삭감은 없다고 배수진을 치고 있다.
궁지에 몰린 캐빈 매카시 의장은 셧다운을 피하기 위한 임시 예산 편성(CR)으로 해법을 마련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강경파들은 이마저도 반대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현실적으로 “합의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의회조사국(CRS)는 이날 ‘셧다운 영향 보고서’에서 “연방정부가 제공하는 재화와 용역은 국내총생산(GDP)의 7% 정도를 차지하며, 이들 재화와 용역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직접적 GDP 감소로 이어진다”이라며 “셧다운은 매주 직접 경제성장률 0.15%포인트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2018년 12월 22일부터 2019년 1월 25일까지 발생한 셧다운의 경우 직접적으로 2018년 3분기 GDP 성장의 0.1%포인트 하락으로 이어졌고, 2019년 1분기는 0.3%포인트 하락했다고 CRS는 전했다.
|
상황이 이렇자 그간 미국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Aaa)로 유지하고 있던 무디스마저도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언급하고 경고에 나섰다. 미국 정가의 문제 해결 능력이 점차 부족해지면서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가 사실상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다는 판단에서다.
무디스는 이날 보고서에서 “셧다운은 같은 최고 등급의 다른 정부에 비해 미국의 통치 제도가 취약하다는 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국가신용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정치적 양극화 심화가 재정정책 결정에 상당한 제약을 가하는 것을 보여줄 것”이라면서 “이 같은 사태는 재정적자 확대와 부채 상환능력 악화로 인해 재정 건전성이 약화하는 시기에 발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미국은 지난 50년간 20여 차례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를 겪었다. 가장 최근의 셧다운은 트럼프 행정부 때인 2018년 12월 한달 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