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감독원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택배 배송이나 교통범칙금 조회를 사칭한 스미싱이나 지인 명절인사 등으로 위장한 메신저 피싱이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택배 배송·안부 인사 사칭 문자 사기 폭증
최근 3년간 스미싱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택배 배송 사칭 유형이 28만여 건으로 전체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추석 명절기간 전후로 가족 친지, 지인 간 선물배송이 증가하는 상황을 악용하는 스미싱 문자가 다량 유포될 수 있다.
또한 코로나 엔데믹으로 외부 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건강검진, 교통 범칙금 등 공공기관 사칭(2022년 1만7726건→2023년 8월 7만3364건)이나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을 사칭하는 유형(2022년 4건→2023년 8월 7만3364건)도 올해 급증했다. 추석을 앞두고 고향 방문 등 차량 이동 증가를 틈탄 교통위반 범칙금 조회나 안부인사 등을 사칭하는 악성 문자도 지속 유포될 전망이다.
|
정부는 피해 방지를 위해 △출처가 불명확한 인터넷주소나 전화번호 클릭 금지 △공인 오픈마켓을 통한 앱 다운로드 △백신 프로그램 설치 △개인·금융정보 입력 금지 △전화·영상통화 등을 활용한 상대방 확인 △스마트폰 내 저장된 신분증 사진 삭제 △엠세이퍼 홈페이지 방문 후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신청 등 보안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24시간 탐지체계로 국민 보호
정부는 국민들이 편안한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들과 협력해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문자사기 감시와 사이버 범죄 단속을 중점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추석 연휴기간 동안 문자사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탐지체계를 운영하고, 신고·접수된 문자사기 정보를 분석하해피싱 사이트와 악성 앱 유포지 등에 대한 긴급 차단조치를 통해 국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내 PC와 모바일 기기의 정보보안 수준, 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도록 ‘내PC·모바일 돌보미’서비스를 제공한다. 고령층, 장애인, 아동 등 정보보호 실천이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노인·장애인 복지센터, 키움 아동센터 등에 보안 전문가가 직접 방문하는 보안점검 서비스도 진행한다.
|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3사(SKT, KT, LGU+),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협력해 지난 16일부터 각 통신사 명의로 가입자에게 ‘스미싱 문자 주의 안내’ 문자 메시지를 순차 발송하고 있다.
경찰청도 문자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경찰청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인 ‘사이버캅’에서 예방 수칙·피해 경보 등을 제공한다. 추석 연휴 기간 전후로 발생하는 문자사기, 직거래 사기 등 서민 생활을 침해하는 사이버상 악성사기에 대한 단속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