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결국 위드 코로나는 중단되었다. K방역 따위는 없었고, 위드 코로나도 끝났고, 오로지 위드 백신밖에 방법이 없다면, 그래 좋다. 책임지겠다는 약속은 지켜야 할 것 아닌가”라고 운을 뗐다.
이어 “‘12~17세 연령층에서는 접종으로 인한 이득이 월등히 크다고 생각하고 있지 않다’라고 한 게 9월 14일이다. 그러던 문재인 정권이 석 달도 채 되지 않아 어린아이에까지 백신 주사를 맞히겠노라 나섰다. 해괴망측한 K방역의 새로운 버전”이라고 원색적인 비난을 이어갔다.
|
동시에 백신 부작용에 대해 정부가 회피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마스크를 써야 한다니 마스크를 썼고, 만나지 말라 해서 만나지도 않았고, 백신을 맞아야 한다기에 맞았다. 분명히 문재인 대통령은 부작용이 발생하면 전적으로 정부가 책임을 진다고 했다. 정부가 충분히 보상하게 된다는 점까지 믿으라고 했다. 과연 누구의 죽음을 정부가 책임졌고, 누구의 부작용을 정부가 보상했는가?”라고 반문했다.
|
앞서 지난 3일 정부는 6일 0시부터 4주 동안 사적모임 인원을 제한하고 방역패스 적용시설은 확대하는 내용의 특별방역조치를 발표했다.
본래 유흥시설·실내체육시설·노래연습장 등 다중이용시설 5종에만 적용됐던 방역패스는 식당·카페, 영화관·공연장, 독서실·스터디카페, PC방 등 11종에도 추가로 적용됐다.
또 내년 2월부터 만 12~18세(2006∼2009년생) 청소년들도 방역패스 대상이 된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곳곳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우려에도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주재한 53회 국무회의에서 “백신이 코로나로부터 서로의 안전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 방역 수단이라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며 적극적인 접종 참여를 당부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