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한 번에 10분만 네 곡 뚝딱…“AI음악 예술성, 대중이 판단할 것"(오디오)

AI작곡 스타트업 '포자랩스'&음악 관련 전문가 좌담회
AI작곡 직접 경험해보고 음악에 미칠 영향 평가
인간 수준은 아니지만 작곡 생산성 확 끌어올려
작곡 중 노동의 영역 빠르게 잠식할 것
인간은 예술의 새로운 영역 찾아내야…부작용도 대비
  • 등록 2023-01-05 오후 5:00:21

    수정 2023-01-05 오후 7:44:59

2022년 12월 30일 서울 강남구 포자랩스 회의실에서 음악관련 전문가들이 포자랩스의 음악 생성 인공지능(AI) ‘디오’가 만든 음악을 청취하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 첫번째부터 시계방향) 허원길 포자랩스 대표, 계희승 한양대 조교수, 임지순 3PM 대표, 김준석 음악감독, 이준환 포자랩스 매니저, 이시하 작곡가, 이소영 평론가.(사진=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10시 35분 만들기 시작해 10시 44분 완료가 됐습니다. 동시에 네 곡이 완성됐으니 각 곡당 약 2~3분 정도 걸린 셈이죠”

허원길 포자랩스 대표는 30일 서울 강남구 포자랩스 회의실에서 음악 생성 인공지능(AI) ‘디오’로 만든 음악을 틀었다. 잔잔한 재즈발라드 곡이 회의실을 가득 메웠다.

▲포자랩스의 ‘디오’로 만든 재즈 음악

※‘닥터 로이어’에 삽입된 포자랩스의 음악을 더 듣고 싶다면…이데일리 홈페이지서 ‘여기’를 클릭하세요

포자랩스는 “누구나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기업이다. 현재 디오는 장르, BPM(템포를 나타내는 단위), 분위기, 악기, 송폼(song form) 등 40여 개의 변수를 넣어서 AI로 음악을 만든다. 같은 변수를 넣더라도 클릭할 때마다 새로운 곡이 나온다. 그래서 만들어지는 곡은 무제한에 가깝다. 작곡·편곡뿐만 아니라 믹싱·마스터링까지 한 편의 곡이 만들어지기까지 인간의 개입은 없다.

지금은 작곡을 공부한 전문가들만 디오를 쓸 수 있지만, 포자랩스는 올해 안에 일반인들도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겠다는 계획이다. 작곡가들이 음악을 만들 때 사용하는 음악샘플 서비스도 시작할 계획이다. 현재는 미국 스플라이스가 거의 독점한 시장이지만, AI음악을 통해 그 아성을 깨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누구나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세상, 음악을 좋아하나 작곡은 꿈도 못꿨던 사람들에겐 희소식이지만 작곡가들은 불안하다. ‘밥그릇 빼앗기는 소리’일 수 있다. 포자랩스의 구상에 대해 음악 전문가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이데일리는 전문가 좌담회를 통해 ‘AI가 음악을 만드는 세상’에 대해 토론했다.

이시하 작곡가(숭실대 교수)
- 포자랩스의 AI가 음악을 작곡하는 것을 보고 들으셨다. 어떻게 평가하나.

이시하 작곡가(이하 이시하) = 인간이 만든 음악만큼 완성도가 뛰어나진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오토 믹싱이 되거나 AI가 만든 음악을 미디파일로 받아가서 작곡가가 좀 더 변화를 줄 수 있게 한다면 매우 음악작업이 쉬워지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음악도 창작과 노동의 영역이 있다. 이 노동의 영역을 다 AI에 넘기고 나는 굉장히 아름다운 멜로디 라인만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

김준석 음악감독(이하 ) = 드라마나 영화 등에 필요한 음악 중에는 ‘우리가 이런 것까지 해야 하나’라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배우가 잠깐 들린 편의점에서 나오는 배경음악 같은 거. 이런 것들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여전히 작곡가가 음악을 만들 때는 그 사람의 삶과 철학이 담겨 있는데 AI 음악은 그런 게 없어 매력은 개인적으로 떨어진다고 본다.

이소영 평론가(명지병원 예술치유센터장)
임지순 3PM 대표(이하 )= AI음악의 장점은 무제한 뽑기. 마음에 드는 음악이 나올 때까지 돌릴 수 있다. 다만, 아직 믹싱·마스터링에서 성공적이라고 평가받은 음악 AI는 본 적이 없다. 만약 믹싱·마스터링의 완성도가 높은 AI가 나오면 그야말로 게임체인저가 될 것.

- 아직 AI가 음악가들을 대체할 수준은 아니라는 이야기인가.

이소영 평론가(이하 이소영) = 3차 산업까진 기계가 인간의 손발을 대체하는 것이었다면 AI는 인간의 뇌를 대체하는 것이다. 그러나 뇌 안에도 여러 기능이 있다. 노동을 담당하는 뇌도 있고 창의성을 담당하는 뇌도 있다. AI가 뇌 전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뇌의 어떤 부분을 대체하는지 봐야 한다. 오케스트레이션이나 편곡 등 도제(徒弟)적인 역할은 AI가 하고 인간은 프로듀싱 영역을 할 것이다. 문제는 AI가 맡은 역할이 바로 ‘후배 작곡가’들이 하던 역할이라는 것이다. 후배 작곡가 일부는 큰 디렉터가 되겠지만 나머진 도태되지 않을까.

임지순 3PM 대표
임 = 기술이 발전하면 누군가는 피해입을 수밖에 없다. 다만, 또 새로운 시장이 생겨난다. DAW(오디오소프트웨어)가 워낙 좋아지면서 연주자들의 시장은 줄었으나 반면 DJ 시장은 엄청나게 늘어났다. 음악AI도 마찬가지다. 개인적으로는 AI 작곡은 결국 경험 내에서 이뤄지는 만큼 경험 밖에 영역을 탐사하는 사람들, 사운드 디자이너, 사운드 채집가 등이 뜰 것 같다. 아울러 음악적 리터러시를 구현할 수 있는 사람들이 주목받을 것.

허원길 포자랩스 대표(이하 ) = 콘텐츠 크리에이터 시장이 발달하면서 발생한 음악 수요층과 작곡가들간의 차이가 있다. 가령 한 유튜버가 본인의 영상에 쓸 음악을 의뢰할 때 한 곡에 20만 원이라고 하면 비싸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작곡가들은 매우 적은 돈이라고 생각한다. 또, 크리에이터의 요구를 전부 수용하기도 어렵다고 느낀다. 이런 시장 상황 속에서 음악의 생산성이 더욱 높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허원길 포자랩스 대표
- AI음악을 예술로 평가할 수 있을까.

계희승 조교수(이하 ) = 예술이라는 개념은 19세기 이후 만들어진 것이다. 우리는 바흐의 칸타타를 위대한 예술이라고 부르지만, 그 시대에서 바흐의 칸타타는 교회 예배를 위한 도구에 다름 아니었다. AI음악을 예술로 볼 수 있느냐의 문제는 소비자가 판단할 몫이라고 생각한다.

이시하 = 거꾸로 인간이 만들면 다 예술인가. 인간도 쓰레기를 많이 만든다.

- 그림 생성 AI인 미드저니, 달리 등은 SNS상의 저작권이 있는 그림을 학습했다. 반면 포자랩스는 직접 작곡가를 채용해 학습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런 노력을 어떻게 평가하시나.

김준석 음악감독
이시하 = 기성 작곡가들의 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그 학습에 사용된 작곡가들에게 저작권 사용료를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결국은 돈 문제다. AI 음악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인간이 향유할 수 있다면 문제가 사라질 것.

이소영 = AI의 발전이 막을 수 없는 흐름이라면 기성곡들의 학습을 허용하고 이에 따른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법·제도를 추진하는 것이 오히려 좋지 않을까.

- 기술이 더 발달해서 AI가 만든 음악을 자체 학습하는 수준까지 가면 어떻게 하나. 인간 작곡가는 필요 없어질까.

이시하 = 그럼 다른 방식으로 인간은 감동을 주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사진기가 만들어지면서 피카소가 탄생한 것처럼 AI가 인간의 영역까지 발전한다면 다른 방식으로 감동을 주기 위해 노력할 것.

계희승 한양대 조교수
- AI음악이 발전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김 = 작곡가들 사이에서도 힘이 약한 작곡가들의 곡을 빼앗아 자신의 이름으로 등록하는 등 부조리가 일어나는 일들이 적지 않다. 음악AI가 활성화되면 특정인이 이익을 독차지하는 일이 발생할까 두렵다. 이를 막으려면 지금이라도 AI를 통해 만든 음악에 대한 등록 절차를 규정할 필요가 있다.

계 = 챗GPT(세계 최대 AI 연구재단인 오픈AI가 공개한 AI챗봇)를 학생들이 논문이나 시험에 활용한다고 하더라. 그런데 동시에 이 논문이 인간이 쓴 것인지, AI가 쓴 것인지 걸러낼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됐다. 윤리적 문제가 생기면 사람들은 거기서 또 방어할 방법을 찾는다. 너무 비관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돌발 상황
  • 이조의 만남
  • 2억 괴물
  • 아빠 최고!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