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다임 전환기에 '강성 노조' 득세…완성차, 노사관계 험로

현대차·한국지엠, 강성 노조 선택…기아도 강성 '유력'
강성 집행부 득세, 전동화 따른 고용불안 원인
'습관성 파업' 일삼는 강성 노조…전동화 발목 잡나
"회사가 성장해야 고용도 보장…노사협력은 필수"
  • 등록 2021-12-08 오후 6:28:16

    수정 2021-12-08 오후 9:01:40

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 9대 지부장(노조위원장)에 당선된 안현호 당선인. (사진=현대차지부 제공)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들어선 완성차업체 노동조합(노조)의 수장들이 ‘강성’(强性)으로 채워지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속에서도 팬데믹 이전에 버금가는 실적을 올린 것과 비교해 보상이 적었다는 노조의 실망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내연기관에서 친환경자동차 중심의 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는 과정속에서 고용안정과 정년연장 등의 문제를 놓고 향후 노사관계에 험로(險路)가 예상된다.

실리파 지고 강성파 뜨고…고용불안이 원인

8일 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005380)지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9대 임원(지부장) 선거 결선 투표 결과 안현호 후보가 차기 지부장(노조위원장)으로 당선됐다. 안 당선인은 내년 1월 1일부터 2년 동안 현대차 노조를 이끌게 된다. 안 당선인은 현장조직 중 가장 강성으로 평가받는 금속연대 출신이다. 안 당선인은 지난 1998년 정리해고 투쟁 당시 현대정공(현대모비스) 노조 지부장으로 현대차 노조와 연대 총파업을 이끈 인물이기도 하다.

안 당선인은 “이번 선거는 MZ세대(1980~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세대)와 정년을 앞둔 근속자들의 표심이 현 집행부에 대한 실망으로 돌아선 결과”라면서도 “(실적에 못미치는 보상 등) 해당 문제에 대해 사측과 충분히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아울러 이날 한국지엠 노조 지부장 선거 결선 투표를 통해 선출된 김준오 당선인 역시 강성으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완성차업계 노조는 ‘강성’ 집행부가 주도하게 됐다. 오는 16~17일 1차 투표와 26~27일 2차 투표가 예정된 기아(000270) 노조 집행부 선거 역시 강성 후보가 힘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년간 노사갈등 없이 임금·단체협약 협상(임단협)을 마무리한 이상수 현(現) 현대차 지부장은 연임을 노렸지만 실패했다. 이 지부장은 코로나19 확산과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속에서 파업 대신 중도·실리 위주 접근 방식을 펼쳤다. 하지만 노조원들의 평가는 박했다는 후문이다. 파업을 지렛대 삼아 사측과 협상하는 이 지부장의 전략이 오히려 반발 요인이 된 것이다. 특히 일단 파업 후 사측과 협상을 벌이는 것을 주된 전략으로 일삼는 강성 계열 계파들의 비판 목소리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강성 집행부의 힘이 강해지고 있는 이유로 친환경차로의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고용불안을 꼽는다. 전기차의 경우 기존 내연기관과 비교해 부품 수가 약 30%가량 적다. 최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2030년 전기차 비중이 33%에 도달할 경우 약 3만5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 현대차 노조는 올해 초 전기차 아이오닉5 조립공정에 투입 인력 규모로 사측과 갈등을 벌인 적이 있다.

‘습관성 파업’ 전략, 전동화 성공적 안착 방해

이번에 당선된 차기 지부장들의 공약도 고용 안정에 방점을 찍고 있다. 안 당선인은 자동차 산업혁명에 따른 고용 대책 마련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해외 공장 운영에 노조 개입을 강화하고 노동이사제를 도입해 노조의 경영 참여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한국지엠 노조 선거의 화두 역시 신차 배정을 통한 고용 안정이다. 1위로 결선에 오른 김 당선인은 조합 내 ‘글로벌전략실’을 마련한 뒤 제너럴모터스(GM)의 정책·동향을 분석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를 통해 전기차 생산 배정을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업계는 산업 전환기 잦은 노사갈등은 결국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강성 집행부들의 습관성 파업 전략은 전동화의 성공적 안착을 방해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실제 강성 집행부가 노조를 이끈 지난 20년간 국내 완성차업체 5개사는 줄곧 노사분규에 시달려왔다. 업체별로 △현대차 16개년 △기아 19개년 △한국지엠 11개년 △쌍용자동차(003620) 9개년 △르노삼성자동차 5개년 등이다.

문제는 국내 완성차업체가 처한 상황이 녹록지 않는다는 점이다. 올해에 이어 내년 역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문제가 지속돼 차량 생산 차질이 예상된다. 친환경차로의 패러다임 전환 성공 여부는 주요시장에 얼마나 잘 안착하느냐에 달려있다. 이를 위해 원활한 차량 공급은 필수다. 주요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내년 주요 시장에서 전기차를 잇달아 출시하는 가운데 현대차·기아도 △아이오닉6 △아이오닉7 △제네시스 GV70 전기차 △EV6 GT 등 굵직한 전기차 모델로 맞불을 놓을 예정이다. 하지만 노사갈등에 따른 파업 등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경우 신차 출시 효과는 반감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친환경차로 사업이 전환되면서 고용불안 문제가 불거지고 있지만 노조가 이를 빌미로 회사의 발목을 잡는 것은 옳지 않다”며 “사업 전환이 성공해야 일자리도 유지할 수 있는 만큼 노사 협력은 필수”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미녀 골퍼' 이세희
  • 돌발 상황
  • 2억 괴물
  • 아빠 최고!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