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미국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조 바이든 정부가 러시아의 국채 원리금 상환을 차단해 디폴트를 부추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가 미국 채권자에게 국채 이자와 원금을 상환할 때 미국 정부가 동결한 러시아 자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러 제재 예외 조치의 시한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미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당초 오는 25일까지 이같은 예외를 허용하기로 했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예외시한을 연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국채 원리금 상환에 미국 내 동결자산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 러시아 디폴트 위기가 크게 높아진다.
러시아는 이달 초에도 지난달 4일까지 지불했어야 할 채권 6억 4900만달러(약 8220억원)의 이자를 뒤늦게 지급했다. 미 재무부가 지난달 4일을 기해 미국 금융기관 내 러시아 정부 자산을 통한 달러 부채 상환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면서, 자국 내 외환보유고에서 이자를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세계 4위의 외환보유국으로 약 6400억달러(약 810조 5600억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해진 서방의 제재로 절반 이상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캐나다 등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 조치로 자국 내 러시아 자산을 동결했다.
러시아는 원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출로 하루 10억달러(약 1조2700억원) 가량의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으나 이 역시 넉넉지 않다는 지적이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각종 제재로 이전에 비해 외화 수입은 줄어든 반면, 전쟁 자금 등 쓸 곳은 늘었기 때문이다.
현재 러시아가 대외 국가채무의 규모는 400억달러(약 50조 8000억원)이며, 오는 25일 이후 연말까지 갚아야 할 대외 채무는 20억달러(약 2조 5300억원)에 달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한편,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금융·무역 제재를 받으면서 국채 상환일마다 디폴트 위기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러시아는 1917년 볼셰비키 공산 혁명 시절 마지막으로 디폴트를 선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