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확보를 막고자 시행한 이 규정으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 내 설비투자 제약 우려도 커지는 가운데 최종 규정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관심을 끈다.
|
미국 정부는 자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위해 지난해 자국 반도체 설비투자에 대한 대규모 지원 내용을 담은 반도체법(Chips Act)를 시행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지원 받은 기업은 10년간 중국 등 우려국에서 생산능력을 5% 이상(첨단 기준) 늘리지 못하는 가드레일을 제시했다. 미·중 양국에 모두 투자한 한국 반도체 기업으로선 미·중 사이에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러몬도 장관은 이 조치가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확보를 제한하는 데 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이미 500개 이상의 기업이 반도체법에 따른 지원을 신청한 만큼 이들 기업이 중국과의 첨단 기술 교류를 중단한다면, 중국은 첨단 반도체 기술을 확보할 수 없으리란 것이다.
다만, 미국 정부의 이 조치가 실효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중국 정부·기업은 미국의 이 조치에 맞서 첨단 반도체 기술 자력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중국 화웨이는 하필 러몬도 장관이 중국을 찾은 지난달 7나노미터(㎚, 10억분의 1m)의 고사양 반도체를 사용한 스마트폰을 발표해 미국에 적잖은 충격을 안겼다.
미 상무부는 중국이 해당 기술을 자체 개발한 게 아니라 어디선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화웨이 스마트폰의 반도체의 성격, 화웨이가 해당 반도체를 확보한 경위 등을 조사 중으로 알려졌다.
러몬도 장관은 이날 화웨이의 당시 발표에 대해 “화나는 일(upset)”이라고 평가했다. 또 “중국이 7㎚ 칩을 대규모로 제조할 수 있다는 어떤 증거도 없다”며 “수출통제를 우회한 증거가 나오면 어떤 기업이든 엄중히 조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화웨이가 하필 러몬도 장관의 방중 기간 첨단 반도체 탑재 스마트폰을 선보인 데 대해서도 “새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건 기업의 결정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