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급순위 10위권 내의 대형건설사에서도 안전인력 규모는 세자릿수부터 한자릿수까지 차이가 컸고, 20위권으로 내려가면 더 했다. ‘사전예방’보다는 ‘사후처벌’을 회피하는 것에 방점이 찍혀 있다 보니 대형건설사라 할지라도 경영자의 사고예방 필요성에 대한 인식차에 따라 사전예방에 들이는 비용이 천차만별인 것이다.
대규모 안전인력을 운영하고 있는 건설사들의 경우 연이은 사망사고가 발생했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후 부랴부랴 인력을 늘리며 대책을 마련한 곳들이 대부분이다.
실제 국내 대형건설사 안전 관리 담당자들은 “많은 기업들이 로펌을 통해 사후적으로 중대재해 발생 시 오너가 형사 처벌을 피할 수 있는 법적 컨설팅에 적지 않은 비용을 들이면서도 안전예산을 늘리는 것에는 소극적인 면이 있다”고 말했다. 안전 예산을 늘리려면 백 마디 말보다 안전사고 한 번 터지는 게 더 빠를 것이라는 관계자들의 전언도 있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지 2년이 넘었지만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50인 이상 건설업 사고 사망자는 전년 동기보다 18.3% 증가했고, 사고 건수도 28.4% 늘어난 났다는 것은 이러한 현실의 방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