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출 수요가 늘면서 월별 중고차 수출 금액도 지난달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4월 중고차 수출금액은 7억6100만 달러(한화 약 1조1000억원)으로 3월(6억9100만 달러)에 이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1~4월 누계 수출금액은 24억8600만 달러(한화 약 3조5000억원)로 전년 대비 무려 74%나 증가했다.
중고차 수출이 늘어난 것은 러시아, 시리아와 같이 전쟁이나 독재 정권의 종식으로 상대적으로 싼 중고차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국가들의 영향이 크다. 신현도 한국중고차유통연구소 소장은 “1400원 전후에서 움직이는 원·달러 환율의 영향도 있지만, 중고차 해외 수출 금액이 커진 결정적 이유는 러시아나 시리아 등지로 대량 수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러·우 전쟁의 종전 가능성이 커지면서 러시아로의 직접 수출 역시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달 러시아로 직접 수출된 중고차는 4328대를 기록, 러·우 전쟁 이후 처음으로 러시아 월간 수출 대수가 4000대를 넘었다. 올 1월 1425대, 2월 2660대, 3월 3511대로 올 들어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말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 정권이 무너진 시리아도 중고차 수출 증대에 큰 영향을 줬다. 시리아 중고차 직접 수출 대수는 3월 2만183대, 4월 1만6063대를 기록했고 시리아로 재수출 되는 요르단, 아랍에미리트(UAE) 합산 수출대수는 3월 9549대, 4월 1만965대를 나타냈다.
문제는 중고차 사업이 사업자등록이나 별도 인허가가 필요 없는 ‘자유업종’으로 분류되다 보니 정확한 통계 집계가 어렵고, 제도적 지원도 부족하단 점이다. 수출 방식 역시 해외 바이어에게 공급하는 방식에 그쳐 영세한 중소업자 위주로 시장이 꾸려져 있다. 중국의 중고차 수출 시장 진입, 국제기구의 중고차 수출 차량에 대한 기준 강화 등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수출 역량을 강화하려면 산업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국회에서도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인천 동구·미추홀갑) 등을 중심으로 중고차 수출업 등록제 도입 및 복합단지 조성 등 산업의 제도화를 추진 중이다. 신 소장은 “중고차 수출도 내수 매매업과 유사하게 등록제를 도입해 관리 기준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본다”면서 “이외에도 수출 중고차의 이력 관리나 품질 고지 등을 통해 상품 신뢰도를 높이면 수출 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