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F 2021]윤석모 "ESG는 장기적 호흡으로 대비해야"

증권업계 최초 ESG연구소 설립, 글로벌 선진 사례 연구
"ESG는 투자자와 피투자자 모두에게 중요한 이슈될 것"
"단기적 수익 매몰보다는 장기적 접근, 긴호흡 접근해야"
  • 등록 2021-06-24 오후 6:04:56

    수정 2021-06-24 오후 6:17:29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는 투자자와 피투자자 사이에서 자본시장 내 주요 변수로 떠오를 것입니다. 단시간의 유행이 아닌 장기적인 변화로서 꾸준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24일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자본주의 대전환: ESG 노믹스’ 주제로 열린 제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ESF) ‘ESG, 돈의 흐름을 바꾸다’ 세션 패널로 나선 윤석모 삼성증권 ESG 연구소장·리서치센터장은 이같이 말했다. 삼성증권은 지난해 증권업계에 최초로 ESG연구소를 설립해 투자 영역에서의 ESG 요소와 관련 정책 등에 대해 분석 중이다.

윤석모 삼성증권 ESG 연구소장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 12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자본주의 대전환, ESG노믹스’에서 ‘ESG 돈의 흐름을 바꾸다’란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오랜 기간 애널리스트로 활동해온 윤 소장은 ESG가 단기적인 유행에 그치지 않으리라 내다봤다. 윤 소장은 “불과 20여년 전에만 하더라도 기업 분석 보고서에는 재무제표가 없었지만 지금은 재무제표와 관련 내용이 당연히 들어가는 요소로 여겨진다”며 “ESG 역시 빠른 세계적인 움직임과 함께 10~20년 사이에 당연한 분석의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이러한 변화의 국면에서 윤 소장은 ESG연구소의 역할을 투자자와 피투자자 사이를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증권사는 결국 일종의 브로커이자 우리 리서치센터의 ESG연구소는 이들 사이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소통을 도울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증권의 ESG연구소는 투자자 관점에서도 피투자자 관점에서도 도움을 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윤 소장은 “현재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등과 ESG 지표를 개발하고 있고 리서치 등에 앞서 있는 기관과 협업을 통해 한국의 상황에 맞춘 ‘ESG 보고서 탬플릿’ 등을 제작 중”이라며 “에너지 전환이나 순환경제, 산업별로 어떤 ESG가 필요한지 등에 대한 분석을 준비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아직 글로벌 기관보다는 부족하지만 리서치센터에 속한 100여명의 연구원이 모두 ESG를 긴 호흡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보고 시장 참여자와 교감을 나누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소장은 일본 공적연금(GPIF) 사례를 통해 ESG는 하나의 장기적인 이슈인 만큼 단기 수익 등에 매몰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노력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ESG 운용’을 표방했던 미즈노 히로미치 전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남성 위주의 일본 사회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어려웠던 여성 친화적 인덱스(MSCI재팬 임파워링 위민 인덱스·MSCI Japan Empowering Women Index)를 활용했고 그러다 보니 고령화라는 일본 사회에서 필수적인 요구였던 연금 수익률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윤 소장은 “이러한 사례를 통해 보면 ESG는 CIO 한 명에 좌우되는 개념이 아닌 장기적인 거버넌스로 자리 잡을 필요가 있고 각국의 실정 등을 참고할 때 효율적인 전략으로 운용할 수 있다”며 “단기적인 수익에 매몰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자리 잡도록 하고 현실을 반영할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마지막으로 윤 소장은 “코로나19 이후에는 더 깊고 장기적인 ESG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미리 장기적인 변화에 대비하고 논의할 자세를 만들어 놓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돌발 상황
  • 이조의 만남
  • 2억 괴물
  • 아빠 최고!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