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 △전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지급 △주 4.5일제(금요일 4시간 단축 근무) △정년 60세→64세 연장 △퇴직금 누진제 등 요구안을 제시했다.
양측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파업 없는 무분규 타결 기록을 세워왔다. 그러나 6월 대선이 맞물리면서 올해는 상견례도 작년보다 한 달 여가량 늦어졌다. 특히 상견례 직전 이재명 정부가 출범했고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이 핵심 쟁점 카드로 떠오르면서 ‘7년 연속 무분규 타결’이 위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이는 작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도 미국 정부의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라 커다란 리스크에 직면한 사측에 부담이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가 국내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현 관세 정책이 지속할 경우, 올해 전체 수출액이 전년 대비 평균 4.9%, 자동차·부품은 7.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가운데 노조가 과도한 요구를 한다면 수출 효자 종목인 완성차의 경쟁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재계 관계자는 “금요일 근무 단축 시 금요일 오후에 일을 하면 휴일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며 “경영 환경에 먹구름이 낀 회사 입장에서는 엄청난 부담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주 4.5일제 및 정년연장 등 첨예한 이슈가 있지만 이는 단순히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차원 노·사·정 논의를 통해 해결할 일”이라며 “다만 현대차 노조의 과도한 성과급 요구 등은 1·2차 협력사들에 심각한 박탈감을 줄 수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