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411건
- [미리보는 이데일리 신문]금융 넘어 실물경제 쇼크…내년이 더 무섭다
-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다음은 29일자 이데일리 신문 주요 뉴스다.△1면-금융 넘어 실물경제 쇼크…내년이 더 무섭다-‘대박 공시’ 못 믿겠소-韓 과학기술 달에 닿았다-美원로의 돌직구 제언 “韓 법인세 24→15%로 낮춰라”-구현모 KT대표 연임-[사설]혈세에 꽂은 보조금 빨대, 투명회계 없인 개혁 없다-[사설]보건지출 증가율 OECD 최고..건보 수술 서둘러야△2면-우주 진출 첫 관문 열었다…7대 강국 도약-35년 정통 KT맨 ‘디지코 2막’ 연다△3면-한달 네번꼴 코스닥 흔든 거짓말…1620억 부당이득에도 벌금은 1억뿐-폐장 틈타 악재 털기 기승…‘올빼미 공시’도 주의해야-미국 민형사 처벌에 담당자 업계 퇴출, 홍콩 최고 13억원 벌금△4면-상호금융 수신잔액 한 달 새 3.4조 증발…앞으로 3개월이 문제다-오케이·에이캐피탈 등급전망 하향…유동성 비상-대출비교플랫폼 수수료 은행 0%vs저축銀 2%…“부담 너무 커”△5면-재료비, 임대료, 인건비 치솟는데..손님들 안올까봐 가격도 못 올려요-집값 뚝, 이자 쑥…영끌족 비명 내년까지 계속된다-취업자 증가폭 ‘81만→10만명’ 축소 전망…역대급 고용한파 예고△6면-주가 하루새 11% 폭락, 시총 20위로 추락…‘테슬라 신드롬’ 흔들-여야 대치 불똥에…가상자산법 제정 결국 해 넘겨-북핵, 미사일 위협 대응 ‘한국형 3축체계’ 구축-대형마트 의무휴업일에도 온라인 배송…10년 만에 규제 완화△8면-아프리카·유럽·중남미까지 망라…중국도 주요 협력 대상 포함-노웅래 체포동의안 부결…민주, ‘방탄’ 역풍 우려-“尹정부서 법안 77개 넘어왔지만…野 행태보면 답답”-“지난 7년간 민간단체 보조금 31조 집행현황 관리허술…전수조사 필요”△9면-육아휴직 12→18개월로…우수 외국인력도 유입-양곡관리법, 되레 쌀값 하락 부추길 것-세법 수정했는데 세수 전망 그대로..예산안 졸속 처리 논란-공정위 ‘특고노조 사업자단체로 규정’ 첫 제재△10면-“IRA 사태 반복 않으려면…삼성, 현대차 美정부·의회 로비 더 강화해야”-“러-우크라 전쟁, 내년에도 안끝나…한반도처럼 휴전상황 전망”△11면-국경 전면 개방한 中 유커 안반기는 美日-러시아산 유가상한제 도입국에…푸틴 “석유 팔지 마라”-中, 18개월 만에 외자 게임 판호 승인-“가격보다 공급망” 글로벌 車기업들, 차이나 엑소더스△12면-1년새 컨테이너운임 78% 뚝…해운업 혹한기-동행축제 성공 이끈 이영 장관 신동빈 회장 치켜세운 까닭은-최윤범 “최대 3대 新산업 가속 상상을 초월하는 한해 만들자”-메타러닝·카멜레온 냉장고…삼성·LG, CES서 신기술 뽐낸다△14면-갤럭시S23, 더 밝아지고 더 오래 쓴다-‘3조’펀드 조성…AI·5G·6G 투자 마중물 될 것-“네이버 대출비교 API, 우리랑 비슷…멤버들 상처 커”-5년간 25조 투자…반도체·모빌리티·AI 등 집중 육성△15면-엑세스바이오, 美국방부 계약 556억서 2619억원으로 ‘쑥’-안국약품, 피노바이오와 차세대 ADC 항암제 개발 MOU-클리노믹스 조기진단으로 ‘실적 퀀텀점프’ 도전장-일동제약 코로나 치료제 ‘조코바’ 국내 긴급사용승인 불발△16면-배당 확보한 기관 1.2조 쏟아내…코스피 2300 붕괴-‘윤석열 수혜주’ 방산주만 高高-좋은 시절 끝난 배당주, 파는게 정답? 성장성 큰 종목은 더 지켜봐야△18면-‘재벌집 회장님’ 빌딩 재건축에…큰손들 몰렸다-올해 코스닥 129개 상장 IT 버블 이후 ‘최대’ 규모-“플라스틱 대체 ‘친환경 고강도 제지’ 시장 개척”△19면-PF발 자금경색에…첫 삽도 못 뜨는 산업단지들-해외건설 수주지원단 출범 “연 수주액 500억 달러 목표”-30평대가 4억…공공분양 2300가구 사전청약-“다주택자 취득세,양도세 완화…매수 불씨 모락모락”△20면-뮤지컬 산업 4000억 규모 급성장 임윤찬·양인모 K클래식 빛냈다-화려한 샹들리에, 히트팝 리믹스 눈·귀 즐거운 ‘자본주의 뮤지컬’△22면-집수리, 청년월세 원스톱 지원…서울시, 주거복지 사각지대 없앤다-“나만을 위한 주거 복지 여기 센터에 多 있어요”-“1평 고시원서 LH전세임대 이사…공용 화장실 줄 안서 살 거 같아요”△24면-‘오픈런 대란 위스키’ 비결은 3배나 긴 숙성 시간이죠“-현대차그룹, 소상공인 360명 온오프라인 홍보 지원-서울아산병원, 직원 급여 잔돈 모아 나눔 실천-유동근 “30년 만에 돌아온 연극 무대, 첫 아이의 탄생 같아”-한국아나운서 대상에 이영호 KBS 아나운서-‘JYP수장’ 박진영, 취약계층 위해 10억원 쾌척-현대엘리베이터, 초중고등학생 26명에 장학금 전달△25면-[목멱칼럼]안전운임제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생생확대경]‘말뿐인’ 제약바이오 육성-[기자수첩]누구를 위해 사면의 종은 울리나-[e갤러리]김경현 ‘천년을 담다’△26면-법원, 스카이72 골프장 강제집행 예고…인천시, 등록취소 검토 ‘온도차’-지방 이전 공공기관 임직원 특공, 대전서 부활할까-경기북구 겨울축제 속속 개최△27면-5명 중 1명이 중국발 확진자…방역 어쩌나-‘서열 2위’ 경찰청 차장 조지호 ‘밀정 의혹’ 김순호 경찰대학장-마스크에 갇힌 아이들-“내년 달력 다 만들었는데” 뒷북 대체공휴일에 인쇄소 발동동-‘中 비밀경찰서 의혹’ 중식당…“오늘 중대 폭로” 예고-‘택시기사·동거녀’ 살해범, 영장실질심사…얼굴 공개되나
- 엑세스바이오, 美국방부 계약 556억→2619억 정정...내년 실적 장밋빛 전망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엑세스바이오(950130)가 지난달 맺은 미국 국방부 계약이 2619억원 규모로 상향되면서 내년도 매출 전망에 청신호가 켜졌다.엑세스바이오 연구원이 진단 시약을 점검 중이다. (제공=엑세스바이오)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엑세스바이오는 지난 23일 ‘미국 국방부 산하 조달청’(Defense Logistics Agency, DLA)과 맺은 계약에서 코로나 항원 자가진단 키트 공급 계약규모를 종전 556억원에서 2619억원으로 상향한다고 정정 공시했다. 엑세스바이오는 한 달 전인 지난달 23일 미국 국방부 공급 규모가 556억원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미국 연방정부 조달 계약은 통상의 계약과 달리 △최소 구매액(Guranteed Minimum) △예상 구매액(Estimate) △최대 구매액(Contract Maximum) 등 3단계로 나눠져있다. 엑세스바이오와 DLA 계약은 △최소 구매액 4140만 달러(556억원) △예상구매액 2억520만 달러(2619억원) △최대 구매액 4억1040만 달러(5560억원) 등으로 세분화됐다. 엑세스바이오는 이 계약을 국내 공시 규정에 맞춰 최소 보장액인 556억원을 전체 계약규모로 발표했었다.이를 두고 이데일리는 정정공시 일주일 앞선 지난 16일 ‘엑세스바이오, 美 국방부 계약규모 556억 아닌 2782억으로 봐야’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냈었다. 이 기사는 미국 조달청 계약의 특수성을 설명하고 실제 계약규모를 다시 살펴봐야 한다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다만, 한 달 새 달러/원 환율이 1355원에서 1276원으로 떨어지며 계약액이 2782억원에서 2619억원으로 소폭 조정된 거 외엔 실제 계약은 그대로 진행됐다.엑세스바이오 측은 “지난달 23일 기본계약서상 최소주문금액 기준으로 공시를 진행했다”면서 “하지만 기본계약서 체결 후 실제로 수령한 구매주문서엔 예상 구매수량만큼 발주가 이뤄져 계약금액을 상향했다”고 밝혔다.2619억원은 고스란히 내년도 엑세스바이오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번 계약기간은 내년 11월 22일까지다. 즉, 엑세스바이오가 미국 국방부에 내년 11월까지 2619억원어치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공급을 완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엑세스바이오는 2619억원 매출을 확보한 상태에서 내년 실적 출발선에 서게 됐다. 이 계약규모는 올해 1~3분기 누적 매출 기준으론 27.8%, 지난해 매출 기준으론 50.1%에 각각 해당한다.엑세스바이오가 지난 23일 정정공시한 미국 국방부 계약 규모. (제공=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엑세스바이오는 경쟁사와 달리 내년 매출액이 증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엑세스바이오 자체가 미국법인이고 미국 현지 공장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엑세스바이오가 미국 정부의 코로나 지원 예산안 편성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미국 연방정부와 공공기관 수요에 직접 수혜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미국 국방부 입찰에서도 미국 기업이 대거 낙찰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미국 국방부 입찰 주요 조건 중 하나가 미국산 원재료 65% 이상 사용이었다. 엑세스바이오는 올해 1~9월까지 전체 원재료 매입비용 7993만달러(1019억원) 가운데 77.9%인 6628만달러(845억원)어치를 미국 내에서 조달했다. 업계에선 엑세스바이오가 최근 진단키트 판가하락에도 영업이익률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국내 기준으로 코로나 진단키트는 지난 4월 개당 6000원선이었나 현재는 2개 1100원이면 구입할 수 있다. 개당 가격이 1/12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아울러 정부 및 공공기관 공급가도 떨어졌다.엑세스바이오 관계자는 “작년엔 생산능력확대를 위해 포장공정을 위탁 생산으로 진행했다”면서 “하지만 올해는 모든 공정을 자체 생산으로 전환해 원가 절감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 진단키트는 판가하락으로 영업이익률이 감소하는 추세”라면서 “그럼에도 우리는 자체생산 비중 확대, 공정 자동화 및 효율화 등으로 높은 이익률을 그대로 유지 중”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엑세스바이오의 올해 1~3분기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51.5%와 비슷한 45.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엑세스바이오 관계자는 “자사 코로나 자가진단키트는 민감도는 높고 가격은 싸서 미국 민간과 공공기관 모두에서 선호도가 높다”면서 “여기에 민감도 32배 높인 신제품이 출시 일자를 저울질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고 기대했다.엑세스바이오 코로나19 진단키트는 민감도 91.7%, 특이도 96.6%로 글로벌 전체 진단키트 가운데 4위에 랭크됐다. 동일 평가에서 SD바이오센서 진단키트는 민감도 91.7%, 특이도 96.6%, 휴마시스(셀트리온 USA 판매) 진단키트는 민감도 86.1%, 특이도 99.4%다. 그럼에도 미국 판매가격은 엑세스바이오 진단키트가 23.99달러(3만559원)로 휴마시스 진단키트 24.52달러(3만1275원)보다 싸다. 엑세스바이오는 지난 9월 기존 제품 대비 민감도를 32배 끌어올린 진단키트(CareSuperb)를 미국 특허청에 출원했다. 현재 이 제품은 긴급사용승인허가(EUA)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바이 아메리카 최대 수혜주"...엑세스바이오, 2782억 美국방부 수주는 신호탄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엑세스바이오(950130)가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최대 수혜주로 내년 미국 연방정부 입찰시장에서 돌풍을 예고했다.엑세스바이오 연구원이 진단 시약을 점검 중이다. (제공=엑세스바이오)21일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 15일 겨울철 코로나 대비계획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전국에 코로나19 검사소 1만5000곳을 설치하고 코로나 무료 검사를 재개한다. 이날 미국 정부는 미국 내 모든 가구에 코로나19 자가 진단키트 4개씩을 무료로 제공할 계획도 밝혔다. 코로나19 진단키트는 지난 19일부터 미국 각 가정에 발송이 시작됐다.뿐만 아니라, 의료보험을 통해 약국이나 온라인에서 구할 수 있는 자가진단 키트를 1인당 한 달에 최대 8개까지 무료로 구입할 수 있도록 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노인들이 거주하는 6500세대 이상의 주택도시개발부 지원 임대 주택에 무료 코로나 자가진단 키트 배포를 결정했다. 미 전역의 500개 주요 ‘푸드뱅크’에서도 무료 자가진단 키트를 제공하기로 했다.백악관의 이 같은 결정은 연말연시를 맞아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미국은 지난달 추수감사절을 맞아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늘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12월 7일 주간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는 46만9000여 명으로 전주인 11월 30일 주간의 30여만 명과 비교해 50% 넘게 증가했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1800명으로 3100명으로 급증했다.◇ 미국산 진단키트에 수혜 집중 전망이런 상황에서 엑세스바이오는 미국 정부의 코로나 진단키트 무료 배포 정책의 최대 수혜주가 될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엑세스바이오 관계자는 “미국 정부 조달 정책을 살펴보면 자국산을 우선 구매하는 제도가 있다”면서 “엑세스바이오는 미국법인이고 미국 현지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상장만 코스닥에 돼 있다”고 덧붙였다.엑세스바이오는 미국 현지에 연간 4000만개의 코로나 진단키트 생산시설을 보유 중이다. 미국 애보트 1억개, 퀴델(Quidel) 7000만개에 이어 3위 규모다. 한국조달연구원이 작성하고 조달청이 지난해 10월 발간한 ‘미국 공공조달시장 입찰가이드북’에선 “미국산 우선구매법(Buy American Act)은 미국의 국내산 우대 법령 중 가장 중요한 법”이라며 “미 연방정부가 행정명령(executive order) 및 각종 규제 등을 통해 미국산 제품 구매에 대한 가격특혜를 제공함으로써 외국산 제품 조달을 제한하는 규정”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산 우선구매법은 1933년 제정됐다.여기에 과거 트럼프 행정부는 2020년 8월 연방정부 기관들의 미국산 의약품, 의료 장비 구매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8월 발효함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바이 아메리카’ 보호무역주의 색채는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달 정부 입찰, 자국 기업 대거 낙찰엑세스바이오가 지난달 23일 미국 국방부 산하 조달청(Defense Logistics Agency, 이하 DLA) 주관 입찰에서 2782억원(예상 구매액) 규모의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공급업체로 선정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미국 국방부는 해당 입찰에서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재료의 65% 이상이 미국산이어야 한다는 점이 주요 조건으로 내걸었다. 이날 엑세스바이와 함께 퀴델, 아이헬스(iHealth Labs), 오라슈어(Orasure) 등 4개사가 선정됐다. 중국 기업인 아이헬스를 제외하고 선정된 3개사는 모두 미국 기업이었다. 해당 입찰엔 13개사가 참여했다.엑세스바이오 관계자 역시 “이번 (미국 국방부) 수주는 ‘메이드 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 정책을 기반으로 획득해 낸 성과”라고 자평했다. 한국조달연구원은 국내산 진단키트의 향후 국내 기업의 미국 조달시장 입찰 전망에 대해 “코로나 초기보다 미국 내 유사제품의 생산 안정성으로 인해 후속계약 진행이 불투명하다”고 내다봤다. 코로나19 초기엔 상황의 긴급성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없이도 긴급발주가 가능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연방정부향 추가 수주 기대감↑미국 연방정부향 추가 수주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미국 연방정부 주요 부처별 조달규모(2016~2020).미국 연방정부는 국방부를 필두로 에너지부, 보건복지부, 보훈부, 미국항공우주국(NASA), 국토안보부, 미국연방조달청(GSA), 국무부, 법무부, 교통부 등의 주요부처에서 2020년 한 해에만 6110억달러(785조원) 규모의 물자를 조달했다. 6110억달러 규모의 조달시장에서 미국 벤더 점유율은 99.51%로 나타났다. 반면 러시아, 캐나다,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한국, 일본, 독일, 덴마크, 스페인, 노르웨이 등 미국 연방정부 조달시장을 뚫은 상위 10개국의 합산 조달비중은 0.38%에 불과했다. 엑세스바이오가 지난달 국방부 수주에서 “미 정부 조달을 지속적으로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배경엔 자사 진단키트가 미국산이라는 자신감이 밑바탕에 깔려있다.코로나 리오프닝에 따른 미국 정부 비축 물량 확산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 2020년 3월에 제정된 ‘코로나19 원조, 구제 및 경제 안보법’(CARES Act) 제3103조에선 진단 테스트 등의 공급품 비축을 규정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코로나 대응 역시 2020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엑세스바이오 관계자는 “현재 민감도를 32배 높인 코로나 자가진단키트(CareSuperb) 개발을 완료하고 미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면서 “이 진단키트는 PCR과 비교해 정확도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미 긴급사용승인허가(EUA), FDA 허가 등이 마무리되면 미국 조달 시장과 민간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계획”이라며 “내년엔 미국 국방부 공급계약 실적분 반영을 시작으로 추가 정부입찰과 신제품 출시 등을 통해 외형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한편, 엑세스바이오는 올해 1~3분기 누적으로 9376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해, 지난해 전체 매출액 5051억원을 크게 웃돌고 있다.
- 엑세스바이오, 美국방부 계약규모 556억 아닌 2782억으로 봐야
-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엑세스바이오(950130)가 미국 국방부와 맺은 계약 규모가 556억원이 아닌 2782억원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는 지적이 나왔다.엑세스바이오 연구원이 진단 시약을 점검 중이다. (제공=엑세스바이오)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엑세스바이오는 지난달 23일 미국 국방부 산하 조달청(Defense Logistics Agency, DLA) 주관 입찰에서 코로나19 항원 자가진단키트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이 계약은 최소 556억원에서 최대 5564억원까지 확대될 수 있다. DLA 측에서 예상하는 코로나19 항원 자가진단키트 구매 총액은 2782억원으로 표시됐다. 최대 계약금의 절반 수준이다.이날 엑세스바이오는 단일판매·공급계약체결 공시를 통해 ‘미국 국방부 소속 조달청’(Defense Logistics Agency Troop Support Medical)과 계약을 체결했고, 확정 계약금액은 556억원 이라고 발표했다. 그 결과, ‘엑세스바이오, 556억 규모 코로나 진단키트 공급계약’ 제목의 기사 여러 건이 온라인 뉴스와 포털에 송출됐다.업계에선 이번 계약을 좀 더 면밀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조달청 입찰 계약은 통상의 여타 계약과는 다른 형태를 띄기 때문이다. 엑세스바이오와 DLA 사이에 맺은 계약서 최상단에 ‘Estimate: The twelve (12) month contract estimate is (수량 비공개) tests (EA)…(중략)…Offeror Estimated Dollar Value Access Bio $205,200,000.00’(예상 계약규모:12개월 계약 추정치는 진단 테스트기 xxxx개 규모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2억520만달러(2782억원)로 명시했다. 이어 △최소 보장액(Guaranteed Minimum) 4104만달러(556억원) △최대 계약규모(Contract Maximum Value) 4억1040만달러(5564억원)가 뒤따르는 형태다.엑세스바이오 전자공시. (제공=금융감독원)그럼에도 액세스바이오는 확정 계약금액인 556억원을 전체 계약 규모로 공시했다. 실제 계약규모가 될 가능성이 높은 2782억원은 공시 최하단 ‘기타 투자판단 참고 사항’에 ‘예상되는 계약 이행 금액’으로 표기했다.업계 관계자는 “엑세스바이오가 미국 조달청 계약을 억지스럽게 국내 공시 규정에 맞추다보니 보수적인 공시가 이뤄졌다”면서 “반면 휴마시스는 지난해 DLA와 계약 후 최소 보장액과 예상 계약규모에 대한 언급을 회피한 채, 최대 계약 규모를 발표한 바 있다”고 비교했다. 이어 “미국 조달청 계약에서 제품에 큰 하자가 없거나, 중대한 천재지변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예상 계약규모’가 실제 이행계약 규모로 보는 게 합당하다”면서 “최소 보장액은 기업 간 계약으로 치면 계약금이나 선수금으로 보는 게 적절하다”고 덧붙였다.실제 휴마시스는 지난해 9월 DLA와 계약을 맺으면서 ‘계약금액은 상황에 따라 최대 7382억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발표했다. 휴마시스는 해당 발표에서 최소 보장액과 예상 계약규모에 대해선 함구했다. 휴마시스와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원 신속진단키트 ‘디아트러스트’(Celltrion DiaTrustTM COVID-19 Ag Rapid Test)를 공동개발했다. 이들은 올해 미국 국방부와 아마존 등 10여 개 기업에 다이트러스트 4000억원어치를 공급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휴마시스와 셀트리온의 미국 국방부향 코로나19 진단테스트기 공급액은 3691억원 내외로 추정하고 있다. 정확하게 최대 계약금의 절반 수준인 ‘예상 계약규모’에 부합하는 액수다.엑세스바이오 관계자는 “회사는 미국 국방부와의 계약규모를 ‘2782억원+알파(α)’로 인식하고 생산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원재료 조달을 2782억원을 기준점으로 보고 발주를 진행하고 있다는 의미다. 한편, 엑세스바이오의 매출액은 2019년 431억원, 2020년 1218억원, 지난해 5051억원, 올해 1~3분기 누적 9376억원 순으로 증가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