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2,185건
- 박보검·아이유의 추억 속 로맨스…향수 불러온 이 차는[누구차]
-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어느새 봄이 다가온 모양입니다. 코 끝을 스치는 바람이 따뜻해졌습니다. 햇볕도 따뜻하게 느껴집니다.봄날같은 드라마가 최근 인기입니다.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 중인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인데요. 지난 7일부터 4회씩, 매주 금요일마다 공개되고 있습니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1막에서는 1960~1970년대, 제주의 봄을 배경으로 빛나는 아이유와 박보검의 로맨스가 등장했는데요.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스틸컷과 신진 코로나 순찰차 (사진=넷플릭스)과거 배경인 만큼 오래된 차가 많이 등장하는 것이 보입니다. 그 중에서도 유독 눈에 띈 차가 있습니다. 바로 순찰차인데요, ‘저 멋진(?) 순찰차는 뭐지?’ 싶은 순간이 있으셨을 테죠.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에 등장한 신진 코로나 순찰차. (사진=넷플릭스)이 자동차는 바로 신진자동차가 만든 ‘코로나’ 입니다. 제조사 이름도 차량 이름도 낯선 분도 계실 텐데요. 원래 코로나는 일본 토요타의 중형 세단입니다. 기술 제휴를 맺고 부품을 들여와 한국에서 조립, 판매한 곳이 신진자동차이고요.신진자동차는 지난 1955년 설립된 한국 자동차 제조사입니다. 지난 1960~1970년대를 풍미한 ‘역대급’ 차를 대거 출시한 바 있습니다. 신진자동차의 첫 번째 차는 버스였는데, 이후 일본 토요타와 기술 제휴를 맺고 난 뒤에는 코로나를 비롯해 크라운, 퍼블리카 등 승용차를 생산했습니다.신진자동차 코로나. (사진=GM 한국사업장)동그란 헤드램프와 그릴을 사각형 테두리가 감싸고, 각진 차체는 콤팩트하면서도 클래식한 맛을 더합니다. 긴 후면 오버행에 더해 격자무늬 테일램프까지 정중한 느낌이 듭니다. 그러면서도 유선형 실루엣이 드러나기도 해, 현대적인 멋도 살렸습니다.신진 코로나는 1966년 처음 출시됐습니다. 이후 한국 완성차 시장을 거의 ‘점령’하다시피 했는데요, 1960년대와 1970년대를 풍미한 차라고 하죠.하지만 코로나는 1960년대 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중국 진출을 노린 토요타가 신진자동차와 제휴를 끊으면서 더 이상 차를 생산하지 못하게 됐기 때문입니다.신진 코로나 광고. (사진=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이후 신진자동차는 생산 중단과 재무 부실 등 여러 이유로 경영난을 겪다 산업은행 관리 하에 넘어가고 맙니다. 이후 새한자동차, 거화자동차 등으로 나뉘어 버렸죠. 새한자동차는 이후 대우자동차로, 거화자동차는 쌍용자동차로 다시 변화하게 됐고요.신진자동차 부평공장 전경. (사진=한국정책방송원)신진자동차 부평공장 전경. (사진=한국정책방송원)신진 코로나가 생산됐던 공장은 인천 부평에 있는 공장인데요, 맞습니다. GM 한국사업장 부평공장 자리에서 만들어진 것이죠.사람 사는 이야기를 담아낸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덕분에 다사다난했던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를 새삼 돌아보게 됐습니다. 수많은 역경 속에서도 꿋꿋이 자리를 지킨 우리나라 자동차 공장을, 그리고 그 곳에서 일해온 근로자들을 생각해봅니다. 드라마 제목처럼, 한국 자동차 산업은 ‘폭싹 속았수다’(정말 수고했습니다)!
- 메르세데스-벤츠, 스마트하고 감성적인 ‘더 뉴 CLA’ 공개
-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독일 메르세데스-벤츠가 ‘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CLA’를 13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CLA.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더 뉴 CLA는 슈퍼 컴퓨터와 MB.OS, 인공지능(AI) 기반 4세대 MBUX 등을 적용한 스마트한 차다. 여기에 역동적 존재감을 감성적으로 풀어낸 내외관 디자인과 새로운 전기 구동계 및 공기역학적 요소, 순수 전기 또는 48V 하이브리드의 유연한 적용을 가능케 하는 모듈형 아키텍처 등이 더해졌다.메르세데스-벤츠는 더 뉴 CLA를 ‘메르세데스-벤츠 CLA 250+ 위드 EQ 테크놀로지’와 ‘메르세데스-벤츠 CLA 350 위드 EQ 테크놀로지’ 두 가지 순수 전기 모델로 먼저 출시할 예정이다. 또한 연말에는 하이브리드 모델도 글로벌 출시한다.더 뉴 CLA는 메르세데스-벤츠에서 자체 개발한 운영 체제 MB.OS를 탑재한 첫 번째 차다. 메르세데스-벤츠 인텔리전트 클라우드에 연결되는 슈퍼 컴퓨터를 탑재해 주요 차량 기능에 대한 정기적인 무선 업데이트(OTA)가 가능하다.MB.OS에 기반한 4세대 MBUX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의 인공 지능을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한 최초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다. 또 차량에는 MBUX 버추얼 어시스턴트 기능도 탑재해 복잡하고 여러 차례에 걸친 대화, 단기 기억 등도 가능하다.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CLA.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MBUX 가상 어시스턴트는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감정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애니메이션의 색상, 밝기, 움직임 등을 변화시켜 운전자와 직관적으로 소통한다.먼저 출시되는 CLA 전기 모델은 사용 가능 에너지 용량이 85kWh인 새로운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했다. 기존 대비 에너지 밀도를 20%까지 증가시켜, 셀당 탄소 발자국을 약 30% 줄였다. CLA 250+ 위드 EQ 테크놀로지는 WLTP 기준 1회 충전 시 최대 792㎞를 주행할 수 있다.메르세데스-벤츠는 구동 방식과 생산 유연성을 극대화한 모듈형 아키텍처를 적용해 전기와 하이브리드 모델 CLA를 선보일 예정이다. 먼저 NCM 배터리를 탑재한 순수전기 CLA를 선보이며, 연말 48V 하이브리드 모델 및 58kWh 용량 LFP 배터리를 탑재한 순수전기 모델도 출시한다.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CLA.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CLA.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CLA 하이브리드 모델은 변속기에 전기 모터를 결합해 도심 등 20kW 미만 전력이 필요할 경우 전기 동력만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감각적 순수미를 살린 내외관 디자인도 적용했다. 긴 휠베이스와 짧은 오버행에 낮은 그린하우스, 파워돔으로 장식된 보닛, 대형 휠을 더했다. 간결한 선과 정밀한 이음새로 이루어진 매끄러운 차체도 적용됐다. 전면 패널에는 메르세데스-벤츠 양산 차량 최초로 조명을 적용했으며 ‘삼각별’ 엠블럼을 살린 주간 주행등, 테일라이트 등을 탑재했다.실내는 미니멀하게 꾸몄다. 10.25인치 크기 운전자 디스플레이와 14인치 중앙 디스플레이, 동반자석 디스플레이를 아우르는 플로팅 MBUX 슈퍼스크린은 옵션으로 제공한다. 센터 콘솔은 공중에 떠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디자인했다.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CLA.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 동방메디컬, 오버행 물량 해소 후 주가 우상향 전망-SK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SK증권은 14일 동방메디컬(240550)에 대해 올해·내년 확보된 계약 실적, 주요 국내 경쟁사들의 밸류에이션 등을 고려할 때 오버행 물량 해소 후 주가가 우상향하리라고 평가했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전 거래일 종가는 1만 680원이다.박찬솔 SK증권 연구원은 “현재 수출 계약물량을 확보한 상황으로, 실적 가시성이 커서 보호예수 1개월 기간이 만료하면서 시장에서 동방메디컬 주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와 내년까지도 확보된 계약 실적, 주요 국내 경쟁사들의 밸류에이션, 시장의 성장률 등을 고려할 때 동방메디컬 주가는 오버행 물량 해소 후 우상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표=SK증권)동방메디컬은 지난달 13일 코스닥에 신규 상장한 법인으로, 한방과 양방 미용 의료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다. 한방 의료기기는 일회용 한방침과 부항컵, 양방 미용기기는 필러, 캐뉼러, 니들류 등이 핵심 제품이다. 박 연구원은 “한방 의료 분야에서는 국내 압도적 점유율 1위 업체”이며 “서양 미용 의료기기 분야, 특히 HA Dermal Filler 진출을 통해서 성장의 다음 발판을 마련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동방메디컬은 지난해 3분기 누적 실적 기준 양방 제품 수출 비중은 22.0%, 한방제품은 40.8%를 기록했다. HA 필러(양방) 기준으로는 95.2%를 기록했다. 동방메디컬은 약 50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고, 글로벌 이해도가 있는 업체라는 평가다. 해외는 대표에이전트를 통해서 영업을 확대 중이며, 주요 지역별 파트너사는 중화권 Hainan So-Young Medical Tech.(필러)·Dongbang Bio-Tech(기타 미용), 북중미 Lhasa OMS(미용·한방), 남미 Xuli Comercro(한방), 기타 아시아권 Great Kuei Tai(한방)이다. 박 연구원은 올해 주목해야 하는 점으로 필러 수출 실적 증가를 꼽았다. 그는 “중국 신양그룹, 브라질 PHD와 계약한 물량이 실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는 것만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웅천(한방)·용인(양방), 천안(한방·양방), 분당(MTS 니들·롤러) 생산공장과 중국 청도·소주(한방침·채혈침, 뜸)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신양그룹향 필러는 기존 공장을 활용해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또 올해 계약된 물량 52억원 규모가 분기 단위로 고르게 실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봤다. 브라질향 필러의 경우가 변수인데, 172억원이나 되는 규모의 물량이 ANVISA(브라질의 기술 표준 수립을 담당하는 국립품질규격관리원(INMETRO)의 인증을 기다리고 있어서다. 박 연구원은 “이 부분이 해결되고 브라질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동방메디컬의 올해 핵심 투자 포인트로 보인다”며 “빠르면 4월, 늦으면 7월 중으로 ANISA 인증 여부가 가시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동방메디컬의 지난해 잠정 매출액을 1051억원과 영업이익 150억원, 순이익 31억원으로 추산했다. 그리고 올해 매출액 1300억원과 영업이익 280억원, 순이익 200억원으로 각각 예상했다.
- 신약개발사 특례상장 성패…'흑기사' 해줄 쩐주에 달렸다
- [이데일리 임정요 기자] 코스닥 시장 기술특례상장에 도전하는 신약개발사들은 최대주주가 어느 정도 자금력이 있는지를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당장 매출을 일으킬 제품 없이 연구개발(R&D)에 집중하는 신약개발사가 자금난에 빠질 경우 최대주주가 흑기사로 나서줄 수 있는지 여부가 상장 성패를 가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거래소의 최우선 판단기준인 ‘개인투자자 보호’와 일맥상통한다. ◇예심철회와 통과, 그 간극7일 제약바이오 업계는 항체 면역항암제 개발사 이뮨온시아의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예비심사’ 통과가 화제다. 앞서 예심을 자진철회한 앰틱스바이오(항진균제 신약개발), 레드엔비아(심장질환 약물재창출), 레메디(방사선 의료기기)와 이뮨온시아(면역항암제 개발)의 차이점은 신약개발사로서 임상 2상 단계까지 R&D를 진행시킨 것, 기술이전 이력이 있는 것, 그리고 든든한 최대주주를 가졌다는 점이다.유한양행을 최대주주로 둔 것의 효익은 크게 두가지다. 우선 상장 후 대규모 주식물량이 출회하는 오버행(Overhang) 이슈가 없다. 단순 재무적투자자(FI)에 그치지 않고 67%의 지배지분을 보유했기 때문에 이를 쉽게 매각하지 않을 것이란 기대에서다.이어 이뮨온시아가 상장 후 자금문제에 직면했을 때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하더라도 이 ‘주주’가 유한양행이라는 점이다. 든든한 ‘쩐주’가 있어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리스크를 상쇄시켜줄 것이란 믿음이 있다.(사진=이뮨온시아)한편, 이뮨온시아는 지난 2022년 기술성평가를 탈락해 한차례 상장시도가 무산된 바 있다. 이 때 기존 FI 중 메리츠증권·화재·캐피탈 3사가 보유한 물량은 모두 풋옵션(Put-option) 행사로 유한양행에 매각했다.현재 이뮨온시아의 주주는 유한양행 외 BNH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프리미어파트너스, 티그리스인베스트먼트, 대경인베스트먼트, 한양증권 등으로 파악된다.이뮨온시아는 PD-L1 타깃 단일항체 면역항암제의 임상 2상을 자체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 외 중국 3D메디슨에 기술이전한 CD47 타깃 파이프라인이 임상 1상 단계에 있다. 비임상 단계 파이프라인까지 살펴보면 이중항체 및 비공개 타깃대상 파이프라인도 존재한다. 유한양행,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 프로젠과 공동연구개발을 하고 있다.회사는 작년 두번째 기평 도전에서 SCI평가정보와 이크레더블로부터 A, BBB 등급을 받아 통과했다. 예심 청구 후 5개월만에 심사를 통과했으며 앞으로 증권신고서 제출 후 수요예측에 돌입하게 된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한 바이오 VC는 “PD-L1, CD47은 올드한 타깃이라 경쟁사가 너무 많지만, 국산화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라며, “제일약품의 온코닉테라퓨틱스, 유한양행의 이뮨온시아, 동국제약의 동국생명과학처럼 자금력을 가진 제약사가 최대주주인 곳은 무리없이 상장하는 모양새”라고 말했다.◇‘쩐주’의 존재감이뮨온시아 이후 예심결과를 대기 중인 곳은 제노스코다. 코스닥 상장사 오스코텍(039200)이 59%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다. 단일 최대주주가 있어 오버행 우려는 덜었지만, 유한양행-이뮨온시아의 케이스와는 상반되게 제노스코-오스코텍은 ‘쪼개기 상장’ 논란이 불거져 예심 승인이 미지수다.최대주주로서 유한양행과 오스코텍은 체급 차이가 있다. 유한양행은 국내 전통제약사 가운데 유일하게 2조원 이상의 매출을 내는 곳이다. 영업이익도 500억원대다. 오스코텍은 작년 매출로 340억원을 기록했다. 직전연도 49억원에서 586% 늘어난 수준이다. 영업적자는 26억원으로, 직전연도 326억원에서 큰 폭으로 개선됐지만 여전히 적자라 자회사를 재정적으로 도와줄 수준은 아니다.오스코텍의 매출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는 ‘레이저티닙’의 기술료 덕분이다. 미국 보스턴에 소재한 자회사 제노스코와 공동개발해 2016년 유한양행에 기술이전했다. 유한양행이 2018년 미국 존슨앤드존슨 자회사 얀센에 재이전해, 작년 미국 FDA에 리브리반트+레이저티닙 병용요법으로 폐암 신약허가를 획득했다. 얀센은 6일(현지시간) 영국에서도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발표했다.얀센과의 기술 딜은 총규모 1조3000억원 가량이며 나아가 매출에 따른 로열티가 별도로 발생한다. 유한양행, 제노스코, 오스코텍은 기술이전 수익을 6:2:2로 나누는 구조다.제노스코는 성공한 글로벌 신약의 원개발사라는 입지로 기술성평가도 AA·AA라는 최고 성적으로 통과했지만, 과연 거래소가 상장 예심을 승인할지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한편, 제노스코는 오스코텍의 100% 미국자회사로 2000년 출발했다. 오스코텍은 치과의사 김정근 박사가 창업한 회사로, 초기엔 임플란트 등이 주된 사업내용이었다. 제노스코 역시 미국에서 치과용 이식재,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 사업을 펼치려 설립했지만 이후 2008년 LG화학 출신 고종성 박사를 현지법인장 및 R&D 총괄로 영입하며 현재의 신약 R&D 회사로 거듭났다.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제노스코와 오스코텍은 현재 주된 매출기반이 동일하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핵심 R&D 인력인 고종성 박사가 상장 후에도 회사에 남아 있을지 의문이라 거래소 입장에서 고민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