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601건

문정동에 둥지 튼 바이오벤처들, CEO 모임 정례화…협업 모색
  • 문정동에 둥지 튼 바이오벤처들, CEO 모임 정례화…협업 모색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서울 송파구 문정동에 둥지를 튼 바이오·헬스케어기업 대표 20여 명이 한 자리에 모였다. 서로 정기적으로 만나 정보 공유를 통해 협업을 모색하며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다.서울 송파구 문정동 소재 바이오벤처 20여 개사가 21일 지아이이노베이션 사무실에 모여 ‘문정 바이오 CEO 포럼’을 발족했다. 이날 초대 회장으로 선출된 이병건 지아이이노베이션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김새미 기자)문정동 소재 바이오벤처 20여 개사는 21일 지아이이노베이션 사무실에 모여 ‘문정 바이오 CEO 포럼(가칭)’을 발족했다. 이날 발족식엔 20여 명의 바이오벤처 대표들이 참석했다. 당초 이날 모임에는 문정동 소재 바이오벤처 53개사 중 29개사가 참석 의사를 표명했으나 해외 출장 등 업무가 겹쳐 일부는 불참했다. 키프론바이오는 강승모 BTT그룹 이사가 대신 참여했다.[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초대 임시 회장으로는 이병건 지아이이노베이션 회장이 추대됐다. 이 회장이 연말까지 포럼을 운영한 뒤 내년부터는 1년 임기로 정식 회장을 선출할 예정이다. 해당 모임을 운영하기 위한 임원사도 뽑을 계획이다.이 회장은 “지난해부터 이 모임에 대해 논의하게 됐는데 이제야 첫 모임을 진행하게 됐다”며 “올해 말까지 초대 회장을 맡게 됐고 내년부터는 정식 회장이 선출될 예정이다. 남은 3~4개월 열심히 하겠다”고 소감을 말했다.이 회장은 “바이오기업들 관련 모임이 대전, 판교, 송도, 마곡 등에도 몇 개 있다”며 “이 모임을 통해 문정동 바이오기업 간 협업을 모색할 것”이라고 모임을 만든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회사마다 각자 갖고 있는 정보가 많은데 서로 공유가 안 되니까 아쉬운 점이 많았다”며 “이번 모임을 통해 정보 공유를 하면서 서로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문정동에는 △네오젠티씨 △넥스아이 △동구바이오제약(006620) △마루테라퓨틱스㈜ △맵스젠 △바이오플러스(099430) △브렉소젠 △브이원바이오 △사이러스테라퓨틱스 △삼익제약 △세네릭스 △세라노틱스㈜ △센트릭스바이오 △셀렉신 △심플렉스㈜ △싸이런세라퓨틱스 △싸이토젠 △씨드모젠 △앰틱스바이오 △앱콘텍 △에스엔이바이오 △에이엠사이언스 △에이조스바이오 △에이템스 △에이프릴바이오(397030) △에이피트바이오 △에임드바이오 △엔에이백신연구소 △엘앤제이바이오 △엠디바이오팜 △올리브헬스케어플랫폼 △웰마커바이오 △유비프로틴 △유빅스테라퓨틱스 △이뮨앱스 △이지놈 △인테라 △제이씨바이오 △지니너스(389030) △지아이이노베이션(358570) △지투지바이오 △진캐스트 △키프론바이오 △테라펙스 △파티앱젠 △프레이저테라퓨틱스 △프로큐라티오 △피씨엘(241820) △한스바이오메드(042520)㈜ △환인제약(016580) 등의 기업 본사 혹은 서울사무실이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 설립 초기 단계인 비상장 바이오텍이 입주해 있는 게 특징이다.문정동 바이오클러스터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형성된 게 특징이다. 문정동은 벤처캐피탈(VC)이 모여있고 특허 법률사무소들이 위치한 삼성동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이 있다. 또 가까운 위치에 SRT 수서역이 있어 대전 등 지방 출장이 용이한 편이다. 대형병원들도 가까이 있어 의료기관과 협업을 모색하기도 적합하다. 판교에 비해 서울 내에 있기 때문에 접근성 측면에서 우수한 연구개발 인력을 채용하기 유리하다는 얘기도 나왔다.윤선주 에이피트바이오 대표는 “문정동에는 신약개발사뿐 아니라 제약사, 진단업체 등 다양한 기업들이 자리잡고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사와의 교류인데 그런 점에서 문정동은 삼성동과 가깝다는 강점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지역적으로 보면 경기 남부, 서울 동서 끝쪽에서 오기 좋은 인프라를 갖춘 곳이 문정동 아닐까”라며 “문정동 모임을 특장점을 갖고 잘 살려나가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바이오벤처 대표들은 이번 모임을 통해 오픈이노베이션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기술력을 검증하고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김동호 엔에이백신연구소 대표는 “요즘 가장 중요한 게 회사가 보유한 기술이 얼마나 보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다”라고 짚었다. 김 대표는 “국내 근거리에 위치한 유사한 분야의 파트너사와 협업해서 기술에 대해 검증하고 기술력에 대한 객관성을 갖춰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이런 모임을 통해 회사가 갖고 있는 자원을 공유하면 좋은 파트너십이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발언했다.해당 모임에는 바이오벤처뿐 아니라 제약사들도 함께 하고 있다. 이 날 조용구 동구바이오제약 대표는 “우리는 53년 전통의 제약사인데 새로운 가치와 전통제약사의 융합을 모색하고 있다”며 “동구바이오제약은 전략적투자자(SI)와 재무적투자자(FI) 역할을 같이 함으로써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을 많이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다음 모임은 오는 11~12월 중에 추진할 예정이다. 다음 모임에선 내년 회장사·임원사 선출과 함께 새로운 모임명이 확정될 전망이다.
2023.09.21 I 김새미 기자
2023 로보월드 프리뷰…서비스로봇 참가 대세
  • 2023 로보월드 프리뷰…서비스로봇 참가 대세
  •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2023 로보월드 개최를 앞두고 유진로봇(056080), 로보케어, 트위니,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가 참가해 전시회를 통해 선보일 제품을 소개했다. 이번 로보월드에서는 헬스케어와 병원 등 돌봄 기반의 서비스로봇 참가 강세가 특징이다.김재환 한국로봇산업협회 이사(사진=한국로봇산업협회)한국로봇산업협회는 21일 서울 인사동 소재 스페이스 오(SPACE O)에서 2023 로보월드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로보월드 프리뷰 및 최신 로봇시장 동향, 전시회 주요 참가기업의 출품 제품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2023 로보월드는 오는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 1~3홀에서 개최된다.산업통상자원부 주최,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사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공동 주관으로 개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300개사 800여부스(3만2157m2) 규모로 마련됐다. 지난해보다 참여사가 37% 이상 확대된 규모다.해외 수출상담회는 조기에 참가신청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1차(초동면담-6월), 2차(화상수출상담회-8월), 3차(대면상담회-10월 행사기간)에 걸친 통합 수출상담회로 추진되고 있다. 지난 2주간(8.7 ~ 8.18) 개최된 2차 수출상담회를 통해 상담건수 60건, 상담액 3030만불, 계약추진액 539만불의 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유진로봇은 이번 로보월드 2023 전시회를 통해 맞춤형 자율주행로봇(AMR)인 ‘커스텀 AMR’을 오프라인 최초로 공개한다. 새로운 고카트(GoCart) 시리즈도 선보일 계획인데 최근 업무협약을 체결한 LG유플러스와 추후 구현 예정인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유비씨의 디지털 트윈 기술을 GoCart Omni 제품에 적용, 시연할 예정이다.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 기업인 로보케어는 노령 인구가 증가에 맞춰 인지돌봄 서비스와 정서돌봄 서비스를 융합한 로봇시스템 ‘실벗’과 ‘보미1’, ‘보미2’, ‘도리’ 로봇을 선보일 예정이다. 실벗은 치매예방 교육서비스와 편리한 학습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보미 시리즈는 개인형 인지훈련 로봇이다. 특히 보미2는 세계 최초 자율주행 기반 통합 돌봄 로봇 플랫폼이다. 24시간 통합 돌봄이 가능하다. 3D 라이다를 기반으로 한 완전한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하는 트위니는 GPS를 융합한 주행 매커니즘을 적용해 통신, 조명, 날씨 등 환경 변수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진 로봇을 선보인다. 독특한 링크 구조의 차륜 설계로 로봇 사이즈를 소형화하고 단차를 극복한 것 또한 특징 중 하나다. 트위니는 이번 2023 로보월드에 대화형 AI 자율주행로봇을 출품, 트위니만의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23 로보월드 전시회에 협동로봇 RB 시리즈, 사족보행 로봇 RBQ 시리즈 등 다양한 로봇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자체 개발한 서빙로봇을 최초로 공개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 관계자는 “중국산 서빙 로봇이 국내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핵심 부품 국산화로 가격 및 기능적 경쟁력을 갖춘 인공 지능 자율주행 서빙로봇으로 외식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산업 실태조사’(2021년)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로봇산업 매출은 5조 6083억원으로 전년도 매출액 5조 4736억원 대비 2.5% 증가했다. 전문 서비스용 로봇산업 매출은 전년도 4611억원 대비 10.4% 증가한 5091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09.21 I 김영환 기자
'최근 3년간 매출 3배 ↑'…코스닥 상장 앞둔 유투바이오 강점은?
  • '최근 3년간 매출 3배 ↑'…코스닥 상장 앞둔 유투바이오 강점은?
  •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농심(004370)그룹 계열사 유투바이오가 오는 11월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유투바이오는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진단, 정보기술(IT) 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가파르게 성장했다. 유투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해 종합헬스케어 플랫폼기업으로의 도약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그래픽=문승용 기자)◇체외진단 기술 활용해 질병 의심 검체 검사 진행14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유투바이오는 오는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코넥스 상장사인 유투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 공모예정가는 3300~39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약 37억~44억원이다. 유투바이오는 의료기기 업체인 메디슨(현 삼성메디슨)의 사내벤처인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업체 유비케어 창업주 김진태 대표가 2009년 설립했다. 김 대표는 2008년 유비케어를 SK케미칼(285130)에 매각하고 분자진단검사 분석기업 유투바이오를 창업했다.유튜바이오는 코넥스시장에 2016년 상장했다. 유투바이오는 2021년 최대주주가 김 대표 외 7명에서 메가마트 정보기술(IT)서비스 자회사인 엔디에스로 변경됐다. 메가마트는 고(故) 신춘호 농심그룹 회장의 삼남 신동익 부회장이 이끄는 농심그룹 계열사다.유투바이오는 바이오기술(BT)과 정보기술(IT)이 융합된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이다. 유투바이오는 체외진단 기술을 활용해 질병 의심 검체 검사를 진행한다. 특히 유투바이오는 코로나19 팬데믹 때 국내 주요 보건소와 병원 등에 코로나19 진단과 정보기술 솔루션 등을 제공하면서 급성장했다. 유투바이오의 매출은 2019년 187억원에서 지난해 690억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2019년 8억원에서 지난해 157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유투바이오의 주력 제품은 체외진단 검사서비스 랩투진(Lab2Gene)이다. 랩투진은 진단검사서비스와 의료정보기술서비스를 융합한 유투바이오의 독자적인 서비스다. 랩투진은 병·의원과 검진센터로부터 검사 의뢰가 들어오면 혈액, 조직 등 검체를 수거하며 검사 결과는 전자의무기록(EMR)과 연동돼 자동으로 입력된다. 유투바이오 관계자는 “랩투진은 협력 의료기관과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진단검사, 병리검사, 특수검사 등 다양한 검사 수행이 가능하다”며 “랩투진은 실시간으로 의료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병·의원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Sullivan)에 따르면 유투바이오가 영위하는 글로벌 체외진단시장 규모는 2021년 992억2000만달러( 약 124조원)에서 2026년 1383억달러(약 173조원)로 성장이 예상된다. 또 다른 주력제품 건강검진 소프트웨어 ‘유튜첵(U2Check)은 병·의원 진료환경에 최적화된 건강검진 소프트웨어다. 유투첵은 수검자의 검진 예약부터 사후관리까지 모든 검진 업무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향후 5년 내 매출 1000억원 달성 기대유투바이오 주요 병원 등에 코로나19 진단, 정보기술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구축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신규 사업도 추진한다. 유튜바이오는 신규 사업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새롭게 출시했다. 유투바이옴(U2Biome)은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 기술(NGS)을 활용한 장내미생물 분석 서비스와 이를 연계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추천하고 제공하는 통합 패키지 서비스다.유투텔로라이프(U2Telolife)는 텔로미어 길이를 측정해 세포의 노화와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텔로미어 길이에 따른 결과 해석과 상담을 통해 질병 발병 가능성을 예측해 맞춤형 건강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준다. 개인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개인의 유전정보를 분석해 질병 위험을 예측하거나 생활습관 개선을 돕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로 의료기관용 서비스와 소비자직접의뢰(DTC)라고 불린다. 글로벌 소비자직접의뢰 유전체분석시장은 2021년 14억달러(약 2조원)에서 2028년 42억달러(약 6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유투바이오는 협력 의료기관과 협업해 검사 프로세스의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임상시험(CRO) 서비스 사업도 시행하고 있다. 유투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의료정보솔루션 사업 강화, 신수종사업 발굴, 의료정보시스템 관련 기업 인수합병에 사용할 예정이다. 바이오업계는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5년 내 매출 1000억원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유투바이오 관계자는 “유투바이오는 바이오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임상시험 서비스 부문에서 꾸준한 성장을 이어왔다”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 기반 새로운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장내미생물 유전체 분석 서비스 등 맞춤형 헬스케어를 통해 모두의 건강한 삶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09.20 I 신민준 기자
①아시아 최초 딥러닝부터 국내 최초 AI 의료기기까지
  • [뷰노 대해부]①아시아 최초 딥러닝부터 국내 최초 AI 의료기기까지
  • 코로나19가 세계를 강타하면서 제약·바이오 산업의 중요도가 커졌다. 급성장세를 거듭하는 제약·바이오 산업은 자동차, 반도체 등에 이어 한국의 차세대 미래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데일리의 제약·바이오 프리미엄 뉴스 서비스 ‘팜이데일리’에서는 한국을 이끌어 갈 K-제약·바이오 대표주자들을 만나봤다. 이번에는 인공지능 기반 영상진단 및 생체신호 솔루션을 상용화한 ‘뷰노’다.[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국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들의 성장세가 눈부신 가운데, 세계적인 기술력으로 시장의 관심을 받는 기업 중 뷰노를 빼놓지 않을 수 없다. 아시아 의료 AI 기업 중 최초로 딥러닝 엔진을 개발, 이를 통해 의료 영상 솔루션과 국내 최초 AI 의료기기까지 상용화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중이다.업계는 임상 현장에서 의료 AI 제품 및 솔루션 적용이 증가하고, 전 세계 정부가 수가 지정 및 규제 완화 등 적극 지원에 나서면서 AI 헬스케어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확신하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AI 헬스케어 시장은 2018년 18억8800만 달러에서 연평균 45.1% 성장해 2023년 115억800만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예하 뷰노 대표.(사진=뷰노)뷰노(338220)는 2014년 12월 삼성종합기술원 출신 인공지능 전문 연구원 3명이 설립한 회사다. 의료 전문 인력들을 수혈해 2015년 아시아 최초 딥러닝 엔진 ‘뷰노 넷’을 자체 개발했다. 뷰노의 AI 기술력은 창립 초기부터 대외적으로 주목받았다.영상의학 분야 최고 권위 저널인 래디올로지(Radiology), 미국 신경영상의학회지(AJNR), 미국암학회(AACR),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등 글로벌 권위 의료 학술지 및 학회를 통해 55개가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국제의료영상처리학회(MICCAI) 등 세계적인 딥러닝 챌린지에서 1위를 기록했고, AI 원천기술, 진단보조, 질환예측 등 국내외 등록을 완료한 특허가 60개 이상이다. 이를 바탕으로 2016년 북미영상의학회(RSNA)에 최초로 참가해 AI 솔루션 제품 2종을 출품했다. 2018년에는 뷰노메드 본에이지를 개발해 국내 최초로 AI 의료기기 인허가를 획득했다.뷰노는 세계적인 AI 기술에 의료 빅데이터를 접목해 뷰노메드 솔루션을 개발했다. 의료영상, 병리, 생체신호, 의료음성 제품을 포괄하는 해당 솔루션으로 가장 먼저 의료영상 분야 제품을 상용화했다. 현재까지 뷰노메드 솔루션으로 개발한 제품은 △뷰노메드 본에이지 △뷰노메드 체스트 엑스레이 △뷰노메드 Lung CT AI △뷰노메드 펀더스 AI △프로미스-I △뷰노메드 딥브레인 등 6개에 달한다.이예하 뷰노 대표는 “뷰노는 2014년 설립돼 2018년 국내 최초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 당시만 하더라도 대부분 의료기기는 주사기, CT, MRI 등 하드웨어 제품이었다. 메디컬 디바이스, AI 기반 의료 소프트웨어에 대한 가이드라인조차 없었다”면서 “뷰노가 그런 가이드라인을 최초로 만들면서 제품들을 개발했고, 다양한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상용화했다”고 말했다.뷰노메드 본에이지 연구결과.(자료=뷰노)뷰노메드 본에이지는 골연령 판독 보조 소프트웨어로, 의사 골연령 판독시간을 최대 40% 단축한다. 의료진 단독 판독시 188분 걸리던 골연령 판독이 뷰노메드 본에이지를 활용했을 경우 40% 단축된 108분만에 완료됐다. 또한 흉부 CT영상 폐결절 분석 솔루션인 뷰노메드 Lung CT AI도 폐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폐 결절을 의료진보다 더 정확하게 진단한다. 정상 보고된 환자 CT 9952건 중 결절 소견 269건을 발견했고, 이중 10건은 추적 관찰이 필요한 사례로 진단됐다.특히 AI 기반 뇌 정량화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딥브레인은 국내를 넘어 미국 시장 진출도 임박한 상태다. 딥브레인은 100여가지의 뇌 영역을 분할해 위축정도 정량화 분석 정보를 제공한다. 딥브레인은 치매 등 주요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가 부작용인 뇌 위축을 일으키는 것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고, 딥브레인AD 제품은 어떤 종류의 뇌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지까지 감별이 가능하다.이 대표는 “치매 같은 경우 최근 FDA 허가를 받은 치료제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조기 진단이 가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들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며 “뷰노메드 딥브레인은 치매로 의심되는 사람을 실제 진단해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하고, 치매 원인에 따라 치료나 대응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감별하는 솔루션으로 진행된다. 올해 FDA 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뷰노의 다양한 제품들은 국내외 기업들이 도입하고 있다. 일본 최대 의료 정보 플랫폼 기업 M3(소니 지분 33.9% 보유)와 협력하고 있고, 뷰노메드 흉부 CT AI에 대해 의료기관 도입 확대를 진행하고 있다. 또 대만 종합의료기업 CHC와 뷰노메드 본에이지 총판 계약을 체결, 판매를 진행 중이다. 국내의 경우 GC녹십자 계열사이자 국내 요양기관 EMR 1위 기업인 유비케어를 통해 뷰노메드 본에이지를 전국 1만7000여 병의원에 도입했고, 법인 대리점 20곳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이 대표는 “뷰노는 환자에게 의학적으로 필요한 솔루션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논문과 임상 연구를 통해 증명해 나가고 있다”며 “환자들의 안전을 강화하고, 더 나아가 뷰노 솔루션이 병원에 도입될 경우 환자, 의사, 병원은 물론 사회적 의료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이다. 이런 부분에 기여하기 위해 현재도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해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09.11 I 송영두 기자
글로벌 긴축 우려에 약세 흐름…874선
  • [코스닥 마감]글로벌 긴축 우려에 약세 흐름…874선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코스닥 지수가 글로벌 긴축 우려 및 외국인의 ‘팔자’에 하락 마감했다.2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18%(1.54포인트) 하락한 874.84에 장을 마감했다. 개장과 함께 상승하며 880선을 터치했으나 이후 하락 전환하며 장중한 때 872.28까지 떨어졌다. 외국인 투자자가 매도에 나서며 증시를 끌어내렸다. 이날 외국인은 762억 원어치 내다 판 반면 개인은 612억 원, 기관은 280억 원어치 순매수했다. 간밤 뉴욕 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재확인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01% 하락한 3만3946.71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37% 오른 4381.89 기록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95% 상승한 1만3630.61로 집계됐다.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영국, 노르웨이, 스위스 등 글로벌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통화긴축 재점화 우려에 국내 증시가 약세를 보였다”며 “특히, 외국인이 현·선물 시장에서 동시 순매도를 보이며 지수하락을 견인한 반면 기관은 매도차익거래 영향으로 현물 시장에서 순매도했다”고 분석했다.업종별 하락우위로 마감했다. 오락, 운송, 금속, 방송서비스, 통신·방송, 기타제조, 종이·목재, 건설 등이 1%대 하락했다. 디지털, 음식료담배, 통신장비, 운송·부품, 통신서비스, 기계장비, IT부품, 금융, 출판매체, 섬유·의류, 컴퓨터서비스 등은 약보합 마감했다. 반면 인터넷, 비금속, 반도체 등은 1%대 상승했다. 유통, 전기·전자, 벤처기업, 의료·정밀 등은 강보합 마감했다.시가총액 상위주는 혼조 마감했다.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가 약보합 마감한 가운데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와 엘앤에프(066970)는 1%대 상승했다. JYP Ent.(035900)와 에스엠(041510)은 2%대 약세흐름을 보였다.종목별로는 SG(255220), 기가비스(420770), 엑스페릭스(317770)가 가격제한폭(상한가)까지 올랐다. 솔트웨어(328380)가 24.69%, 네오펙트(290660)가 19.52% 올랐다. 반면 디모아(016670)가 13.55%,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가 13.09%, 엘앤케이바이오(156100)가 11.66%, 유비온(084440)이 11.11%, 오키스전자가 9.69% 하락하며 높은 하락율을 기록했다. 이날 거래량은 12억6931만4000주, 거래대금은 8조2995억7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상한가 4종목 외 505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없이 998개 종목이 내렸다. 69개 종목은 보합 마감했다.
2023.06.23 I 이정현 기자
코스닥, 외인 매도에 약세 전환…870선 위협
  • 코스닥, 외인 매도에 약세 전환…870선 위협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강세로 출발한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 투자자의 매물 출회에 약세 전환했다.2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후 1시13분 현재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3%(2.01포인트) 하락한 874.37에 거래 중이다. 개장과 함께 880.46까지 올랐으나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외국인 투자자의 매물이 쌓이면서 증시를 누르는 모양새다. 이날 외국인은 653억 원어치 순매도하고 있다. 개인은 737억 원, 기관은 54억 원어치 사들이는 중이다.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재확인한 가운데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01% 하락한 3만3946.71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37% 오른 4381.89 기록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95% 상승한 1만3630.61로 집계됐다.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가 영국 영란은행의 기준금리 50bp 인상으로 하락하기도 했으나, 상승 전환에 성공한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이라면서도 “아마존과 테슬라 등 일부 대형 종목의 힘으로 강세를 보였을 뿐 중소형 지수인 러셀2000지수가 0.80% 하락하는 등 대부분의 종목군이 부진해 미 증시 강세의 영향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다.업종별 하락 우위가 이어지고 있다. 기타제조가 2%대, 방송서비스, 운송, 오락, 금속, 통신·방송, 종이·목재, 음식료담배, 디지털 등이 1%대 하락 중이다. 반면 인터넷이 2%대, 비금속은 1%대 오르고 있다.시가총액 상위는 혼조세다.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가 보합권인 가운데 엘앤에프(066970)만 2%대 강세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는 1%대, 셀트리온제약(068760)은 3%대 강세다.종목별로 엑스페릭스(317770)가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로 가격제한폭(상한가)까지 올랐으며 SG(255220)도 상한가다. 솔트웨어(328380)가 26%대, 유라테크(048430)가 22%대, 카페24(042000)가 20%대 오름세다. 반면 디모아(016670)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이 13%대, 유비온(084440)이 12%대, 신스틸(162300)이 8%대 오름세다.
2023.06.23 I 이정현 기자
유바이오로직스, 콜레라백신 들고 인도로…4천억 규모 민간시장 진출
  • 유바이오로직스, 콜레라백신 들고 인도로…4천억 규모 민간시장 진출
  •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백신개발사 유바이오로직스(206650)가 경쟁사 샨타바이오텍의 철수로 공백이 된 인도 콜레라백신 시장에 뛰어든다. 현지 바이오회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이달부터 민간시장에 백신을 공급한다. 공공백신 시장에서 유일무이한 플레이어였던 유바이오로직스가 인구 14억의 인도에 진출하며 민간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인다. 인도 콜레라백신시장은 약 4000억원 규모로 추산돼 향후 매출 급상승도 기대된다.17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지난 12일(현지시간) 유바이오로직스는 인도 바이오기업인 테크인벤션 라이프케어와 파트너십을 맺고 경구용 콜레라백신인 ‘유비콜-플러스’를 출시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인도에서 유비콜-플러스의 임상 3상을 마치고 인도의약품 규제국(DCGI)에 품목허가를 신청한 바 있다.유바이오로직스의 콜레라백신 ‘유비콜-플러스’ (사진=유바이오로직스)콜레라균인 비브리오콜레라 감염으로 발생하는 제2급 법정감염병인 콜레라는 본래 인도 벵골지역의 풍토병이었다. 갠지스 강을 식수로 활용하는 동시에 이곳에서 수영도 하고 장례까지 치르기 때문에 인도인들은 수인성 전염병인 콜레라의 위험에 쉽게 노출돼 있다. 인도에서만 연간 콜레라환자 675만명, 사망자 2만여명이 발생한다는 통계가 있다.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은 인도에 연간 8300만 도스의 콜레라백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하지만 국가가 지원하는 필수예방접종 사업에 콜레라백신이 속하지 않아 인도인들은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이 구입해 제공하는 공공백신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원래 유바이오로직스의 유일한 경쟁사이자 프랑스 사노피의 인도 자회사인 샨타바이오텍이 자사 콜레라백신 ‘샨콜’을 민간시장에서 공급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콜레라백신 생산을 중단해 콜레라백신에 대한 높은 수요와는 달리 현지 공급은 원활하지 않은 상태다.회사는 인도에서 판매되는 유비콜-플러스의 단가를 정확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공공시장 백신단가에 비해 공급가가 3배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기준 유비콜-플러스의 도즈당 평균 단가가 1.33달러(약 1780원)였음을 감안하면 도즈당 약 4달러(약 5354원)에 판매될 것으로 추정된다. GAVI의 추측치를 토대로 산술계산하면 인도 시장에서 최대 3억3200만 달러(약 4444억원)를 벌어들일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이번 조치는 유바이오로직스가 약 4000억원 규모의 인도 시장에 진출했다는 의미 외에도 본격적인 민간시장 진출이라는 의미가 있다. 지난해 말 사우디아라비아 바이오의약품 회사인 아라바이오와 유비콜-플러스 민간시장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지만 아직 관련 절차를 밟고 있어 실제 공급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지난해 백영옥 유바이오로직스 대표(왼쪽)와 압둘라흐만 알 무타이리 아라바이오 대표(오른쪽)가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유바이오로직스)지난해 유바이오로직스는 551억원의 매출을 냈고 이중 92%에 해당하는 512억원이 콜레라 공공백신에서 나왔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콜레라백신 공공시장에서 80% 이상을 공급하고 있지만 대부분 공공시장에서 공급돼 왔기 때문에 도즈당 단가가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공공시장에 납품되는 유비콜-플러스를 민간시장에서 유통할 경우 도즈당 단가를 최대 5배까지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이 경우 수익성이 대폭 개선돼 현재 소폭 적자인 사업구조가 영업이익 기조로 전환할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유바이오로직스가 민간시장을 통해 콜레라백신을 판매 중인 국가는 인도를 포함해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네팔, 잠비아, 파키스탄, 태국까지 총 8개국이다. 여기에 올 하반기에는 케냐 민간시장에도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유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기존 허가지역 및 인도, 중동을 포함해 민간시장에서 3년 내 200만 도스 이상, 1000만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유바이오로직스는 늘어나는 콜레라백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공장을 증설해 현재 3300만 도즈 수준인 생산능력(CAPA)을 6600만 도즈로 지금보다 2배가량 늘릴 방침이다. 앞서 빌앤멜린다 게이츠 재단으로부터 900만 달러(약 120억원) 지원이 확정돼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내년 하반기부터 공급량이 점진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023.05.18 I 나은경 기자

더보기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