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영역
  • 기간
  • 기자명
  • 단어포함
  • 단어제외

뉴스 검색결과 136건

랩지노믹스 "코로나 매출 공백, 美 진단시장서 메운다"
  • 랩지노믹스 "코로나 매출 공백, 美 진단시장서 메운다"
  •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오는 2024년 이후부터 코로나19 진단검사 없이도 코로나 당시 사상 최대 매출액을 회복하겠습니다.”랩지노믹스(084650) 미국법인장 조정희 상무(사진)는 최근 이데일리와 만나 “미국에서 영업·마케팅 경쟁력을 갖춘 클리아랩(CLIA Lab)을 내년에는 한 곳 더 인수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클리아랩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실험실 표준인증을 획득한 실험실을 일컫는다. 국내에서는 병원이나 의료재단이 진단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클리아랩 인증을 받으면 일반기업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랩지노믹스는 지난 8월 뉴저지에 본사를 둔 매출 700억원 규모 미국 100위권 클리아랩 큐디엑스를 인수했다. 이에 따라 큐디엑스는 외부에서 조달하던 호흡기 질환 검사, 성병 검사, 암 진단에 체외진단(IVD) 제품을 랩지노믹스 제품으로 전환, 수익성 제고에 일조할 전망이다. 지난 3분기 연결기준 실적에는 큐디엑스 실적이 일부 반영됐지만, 내년부터는 통으로 잡혀 외형이 더 커질 예정이다.랩지노믹스는 의료시스템이 집중된 서부 캘리포니아주에서 클리아랩을 추가 인수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궁극적으로는 미주 전역에서 진단서비스를 제공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조 상무는 “미국 영토가 거대하기 때문에 검체 운송을 위해서는 큰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며 “핵심 거점 지역을 대상으로 클리아랩을 추가로 인수, 최종적으로는 미국법인이 콘트롤타워 역할을 맡아 검사 효율성을 높이고, 영업망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랩지노믹스가 클리아랩 인수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은 코로나19 진단키트 위주의 기존 매출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진단기기 업체들은 코로나19가 절정이었던 지난 2021년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으나 엔데믹(풍토병화)으로 실적이 꼬꾸라졌다. 랩지노믹스 역시 지난 2019년 332억원에 불과했던 매출액이 2020년 1195억원, 2021년 2024억원, 2022년 1448억원으로 급증했다가 올해는 1000억원대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가에서는 랩지노믹스의 올해 예상 매출액을 858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코로나19가 터지기 직전보다는 158% 급증한 규모지만, 투자자 눈높이가 코로나19로 높아져 있어 ‘코로나 없는, 코로나 시기 매출’ 달성이 선결 과제로 꼽힌다. 랩지노믹스는 코로나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기간 벌어들인 대규모 자금을 기반으로 클리아랩 인수를 추진하며 매출 공백을 메울 전략이다. 조 상무는 “큐디엑스 매출 확대와 미국법인 자체 매출 달성이 계획대로 준비되고 있고, 특히 코로나 검사 매출을 빠르게 병리 검사와 호흡기 시장의 확대로 전환하고 있다”며 “내년부터 비코로나 매출이 정상궤도에 올라서면서 본사 연결 매출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3분기 실적 바닥을 확인하고, 내년부터는 실적 확대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설명이다.의료 인공지능(AI) 사업 강화도 추진한다. AI 진단사업 강화를 위해 자회사인 AI 기반 유전자분석 플랫폼 제노코어BS 합병도 계획하고 있다. 그는 “현재 의사 한 명당 진단 검사 분량은 하루 40개 정도지만, 병리진단에 AI를 접목하면 200~300개까지도 가능하다”며 “국내 기업과 논의해 디지털화를 도입하고 검사도 디지털화 할 것”이라고 했다.미국 진출을 발판 삼아 캐나다와 중·남미 시장으로 외연도 넓혀나갈 계획이다. 이들 지역은 미국 식품의약청(FDA)에서 허가받은 제품이 보다 빠르게 인허가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조 상무는 “미국 FDA 허가를 받으면 패스트트랙으로 허가를 받을 수 있는 국가들이 상당히 많다”면서 “미국 현지에 생산 기지,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하고 우선 캐나다에 진출한 뒤 중·남미지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게 되면 검증된 제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유럽 시장으로 확대까지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11.21 I 양지윤 기자
이번 주(11월1주)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수요예측 등
  • [증시캘린더]이번 주(11월1주)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수요예측 등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이번 주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와 스톰테크, 블루엠텍 등이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컨텍, 큐로셀, 메가터치 등은 일반 청약을 실시한다. 유진테크놀로지와 유투바이오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 10월30일(월)~11월3일(금)△에코프로머티리얼즈 수요예측 -2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핵심소재 중 하나인 하이니켈 전구체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3만6200~4만4000원, 공모금액 최대 6369억4400만원.-지난해 매출액 6652억원, 영업이익 389억원.◇ 10월31일(화)~11월6일(월)△스톰테크 수요예측-정수기 유로를 구성하는 벨브, 피팅 등 부품 제조업체.-공모가 희망범위 8000~9500원, 공모금액 최대 318억2500만원.-지난해 매출액 510억원, 영업이익 118억원.△블루엠텍 수요예측- 의약품 유통을 주 사업으로 기타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 제작과 광고대행 및 서비스업을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1만5000~1만9000원, 공모금액 최대 266억원.-지난해 매출액 771억원, 영업이익 8억9000만원.◇ 10월31일(화)~11월1일(수)△비아이매트릭스 공모-로우코드(low code)솔루션 전문기업,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련 업무시스템을 구축하는 솔루션 개발·공급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1만3000원, 공모금액 최대 156억원-지난해 매출액 276억원, 영업이익 45억원.△컨텍 공모-국내에서 유일 상용 민간 우주 지상국을 보유한 우주 전문기업. 우주 지상국 설계, 구축, 운용, 위성 데이터 수신, 처리, 분석·활용 등 토탈솔루션 제공 사업 영위. -공모가 희망범위 2만300~2만2500원, 공모금액 최대 463억5000만원.-지난해 매출액 127억원, 영업손실 18억원. △큐로셀 공모-인체 면역세포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면역세포가 가진 암세포 제거 기능 강화하는 CAR-T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공모가 희망범위 2만9800~3만3500원, 공모금액 최대 536억원.-지난해 매출액 -원, 영업손실 214억원.△메가터치 공모-배터리 충방전용 테스트 핀(PIN) 과 클립(CLIP), 그리고 반도체 테스트용 프로브 핀(PROBE PIN) 등 개발, 제조, 판매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3500~4000원, 공모금액 최대 208억원.-지난해 매출액 490억원, 영업이익 80억원.◇ 11월1일(수)~7일(화)△동인기연 수요예측-아웃도어 브랜드로부터 아웃도어용 배낭, 캐쥬얼 가방, 캠핑용품, 골프가방, 하네스 등 제품 제작하는 의류OEM 기업.-공모가 희망범위 3만3000~3만7000원. 공모금액 최대 680억원.-지난해 매출액 2억5000만원, 영업이익 4200만원.△에코아이 수요예측-온실가스 감축 사업 기업, 탄소배출권을 발급받아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게 판매하는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2만8500~3만4700원, 공모금액 최대 721억4130만원.-지난해 매출액 601억원, 영업이익 200억원.◇ 11월1일(수)~2일(목)△한국스팩13호 공모-전자·통신, 소프트웨어·서비스, 자동차, 소재, 바이오·의료, 에너지, 의류·레저용품, 콘텐츠,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 추진-공모가 2000원, 공모금액 최대 80억원,△에스와이스틸텍 공모-2015년 7월에 설립된 건축자재 종합 회사로 고기능성 데크플레이트 설계와 생산, 유통, 시공까지 아우르는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1200~1500원, 공모금액 최대 105억원.-지난해 매출액 1000억5100만원, 영업이익 83억3300만원.◇ 11월2일(목)~8일(수)△한선엔지니어링 수요예측-계측장비용 고성능 피팅·벨브 제조기업. 조선, 해양, 방산, 반도체 등 유체 흐름의 제어가 필요한 산업군에 벨브 등 부품을 제조해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5200~6000원, 공모금액 최대 255억원.-지난해 매출액 409억원, 영업이익 71억원.◇ 11월2일(목)△유투바이오 상장-체외진단 기업으로 일반진단 및 분자진단검사서비스인 체외진단검사서비스 사업 및 건강검진·의료기관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연동 소프트웨어인 의료IT 솔루션서비스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4400원, 공모금액 최대 50억원.-지난해 매출액 690억원, 영업이익 157억원.△유진테크놀로지 상장-2010년에 설립된 2차전지 부품 및 소재 전문업체로, 2차전지 정밀금형 및 정밀기계 부품, 자동화 장비, 리드 탭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1만7000원, 공모금액 178억원.-지난해 매출액 398억2500만원, 영업이익 23억8500만원.◇ 11월2일(목)~3일(금)△에이직랜드 공모-주문형반도체(ASIC) 디자인 솔루션 기업으로, 전 세계 최대 파운드리 TSMC의 국내 유일 가치사슬협력사(VCA)로서 TSMC의 선단 공정과 레거시 공정을 통한 반도체 개발 및 양산을 목표로 하는 팹리스 기업. -공모가 희망범위 1만9100~2만1400원, 공모금액 최대 564억원.-지난해 매출액 696억2900만원, 영업이익 71억8000만원.◇ 11월3일(금)~9일(목)△그린리소스 수요예측-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 장비용 부품에 적용되는 내식성과 내플라즈마성을 제고하는 보호코팅을 위한 코팅소재의 제조 및 코팅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1만1000~1만4000원, 공모금액 최대 229억6000만원.-지난해 매출액 250억원, 영업이익 37억원.◇ 11월3일(금)△KB스팩27호 상장-신재생에너지, 바이오제약·의료기기, IT융합시스템,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탄소저감에너지, 고도 물처리, 첨단그린도시,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엔터테인먼트, 자동차부품 제조, IT 및 반도체, 소프트웨어·게임·모바일 등의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 추진.-공모가 2000원, 공모금액 250억원.
2023.10.29 I 이용성 기자
이번주(10월4주) 서울보증보험 청약·워트 상장 등
  • [증시캘린더]이번주(10월4주) 서울보증보험 청약·워트 상장 등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이번 주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는 에스와이스틸텍, 에이직랜드, 에이텀, 캡스톤파트너스, 한국스팩13호 등이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서울보증보험, 유진테크놀로지, 유투바이오, KB스팩27호, 쏘닉스 등은 일반 청약을 실시한다. 워트, 퀄리타스반도체 등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10월23일(월)~24일(화)△유진테크놀로지 공모-2010년에 설립된 2차전지 부품 및 소재 전문업체로, 2차전지 정밀금형 및 정밀기계 부품, 자동화 장비, 리드 탭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1만7000원, 공모금액 178억원.-지난해 매출액 398억2500만원, 영업이익 23억8500만원.△유투바이오 공모-체외진단 기업으로 일반진단 및 분자진단검사서비스인 체외진단검사서비스 사업 및 건강검진·의료기관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연동 소프트웨어인 의료IT 솔루션서비스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4400원, 공모금액 최대 50억원.-지난해 매출액 690억원, 영업이익 157억원.◇10월23일(월)~27일(금)△에스와이스틸텍 수요예측-2015년 7월에 설립된 건축자재 종합 회사로 고기능성 데크플레이트 설계와 생산, 유통, 시공까지 아우르는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1200~1500원, 공모금액 최대 105억원.-지난해 매출액 1000억5100만원, 영업이익 83억3300만원.△에이직랜드 수요예측-주문형반도체(ASIC) 디자인 솔루션 기업으로, 전 세계 최대 파운드리 TSMC의 국내 유일 가치사슬협력사(VCA)로서 TSMC의 선단 공정과 레거시 공정을 통한 반도체 개발 및 양산 을 목표로 하는 팹리스 기업. -공모가 희망범위 1만9100~2만1400원, 공모금액 최대 564억원.-지난해 매출액 696억2900만원, 영업이익 71억8000만원.◇10월24일(화)~25일(수)△KB스팩27호 공모-신재생에너지, 바이오제약·의료기기, IT융합시스템,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탄소저감에너지, 고도 물처리, 첨단그린도시,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엔터테인먼트, 자동차부품 제조, IT 및 반도체, 소프트웨어·게임·모바일 등의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 추진.-공모가 2000원, 공모금액 250억원.◇10월25일(수)~26일(목)△서울보증보험 공모-1969년 설립된 국내 최대 종합보증사로 각종 이행보증, 신원보증, 휴대전화 할부보증, 중금리 대출보증, 전세자금 대출보증 등 다양한 상품을 제공.-공모가 희망범위 3만9500~5만1800원, 공모금액 최대 3617억원.-지난해 매출액 2조6084억원, 영업이익 7275억7500만원.△한국스팩13호 수요예측-전자·통신, 소프트웨어·서비스, 자동차, 소재, 바이오·의료, 에너지, 의류·레저용품, 컨텐츠 등의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 추진.-공모가 2000원, 공모금액 80억원.◇10월26일(목)△워트 상장-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의 핵심 공정에 필요한 환경제어 시스템 사업 영위, 초정밀 온습도 제어장비(THC), 팬필터유닛(FFU),초정밀 항온기(TCU)등 개발 기업.-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6500원, 공모금액 260억원.-지난해 매출액 228억3500만원, 영업이익 67억1400만원.◇10월26일(목)~27일(금)△쏘닉스 공모-무선통신(RF) 필터 전문 파운드리 기업으로 RF 필터 파운드리 인프라 보유 및 생산 기술 사업 등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5000~7000원, 공모금액 최대 252억원.-지난해 매출액 158억3900만원, 영업손실 34억300만원.◇10월26일(목)~11월1일(수)△에이텀 수요예측-스마트폰 충전기, TV, 전기차, 전기차 충전기 등의 전원공급장치 부품에서 전기에너지 전환 역할을 하는 트랜스를 제조·공급하는 기업.-공모가 희망범위 2만3000~3만원, 공모금액 최대 195억원.-지난해(2022년7월~2023년6월) 매출액 479억7100만원, 영업손실 59억2300만원. △캡스톤파트너스 수요예측-2008년 설립된 벤처캐피탈(VC)로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된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이며, 벤처투자조합 등 조합결성을 통한 창업초기 기업 투자 및 운영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3200~3600원, 공모금액 최대 57억원.-지난해 매출액 122억1600만원, 영업이익 71억100만원.◇10월27일(금)△퀄리타스반도체 상장-초고속 인터커넥트 반도체 설계 기술과 초미세 반도체 공정 설계 및 검증 기술을 바탕으로 초고속 인터페이스 지적재산(IP) 라이센싱 및 디자인 서비스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1만7000원, 공모금액 306억원.-지난해 매출액 107억8900만원, 영업손실 36억7100만원.
2023.10.22 I 김응태 기자
유투바이오 "엔데믹에도 실적 안정적…상장 후 M&A 추진"
  • 유투바이오 "엔데믹에도 실적 안정적…상장 후 M&A 추진"
  •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바이오기술(BT)과 정보기술(IT) 융합을 통해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이후에도 지속 성장할 의미 있는 실적을 낼 수 있는 회사로서, 코스닥 상장을 통해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성장하겠습니다.”김진태 유투바이오 대표이사. (사진=유투바이오)김진태 유투바이오 대표이사는 19일 서울 여의도에서 개최된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유투바이오는 오는 11월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을 계획하고 있다.유투바이오는 지난 2009년 설립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이다. 예방 중심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지향하며 체외진단 검사 서비스, 건강검진솔루션, 유전체 분석 기반 개인 맞춤형 서비스 등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체외진단 서비스 ‘랩투진’(Lab2Gene)이 있다. 진단검사 서비스와 의료 IT서비스를 통합 연계한 랩투진은 국내 약 2300여개 의료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다. 모든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동되는 편의성을 내세워 입지를 다졌다.또 검진 예약부터 사후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건강검진 솔루션 ‘유투체크’(U2Check)를 바탕으로 디지털 의료 IT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최근엔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의 바이오인포매틱스(BI) 플랫폼을 구축해 마이크로바이옴, 텔로미어, 모유분석 등과 같은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외에도 신약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서비스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면서 매출과 이익도 안정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690억원으로 전년 대비 3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90억원에서 157억원으로 74.4%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진단 매출이 큰 폭 늘어났지만 앞으로도 BT 솔루션 및 IT 사업 등에서 매출 지속 늘어날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유투바이오는 이번 상장을 통해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해외시장 진출에도 나선다. 태국 최대 헬스케어 기업인 카리바(CARIVA)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북미 시장도 공략한다. 성장 모멘텀 확보 목적으로 인수·합병(M&A)도 추진한다. 비대면진료, 물류, 의료정보 인프라 등의 여러 산업 분야에서 우수 기업과 M&A를 통해 신규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유투바이오는 이번 기업공개(IPO)에서 총 112만8720주를 공모하며, 100% 신주모집이다. 공모가 희망범위는 3300~3900원이다. 최대 공모금액은 44억원이다. 상장 후 시가총액은 최대 440억원이다. 전체 상장예정주식수 1128만7196주 중 유통가능물량은 351만6216주로 31.15%다. 보호예수물량은 770만980주로 68.85%다. 1개월 후에는 벤처금융 및 기타주주 보유 주식인 190만9520주인 16.92%가 시장에 풀리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유투바이오는 이달 18~19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일반청약은 오는 23~24일에 진행한다. 상장예정일은 11월 중이다. 상장주관사는 신한투자증권이다.
2023.10.19 I 김응태 기자
이번 주(10월3주) 에코아이 수요예측…신성에스티·퓨릿 상장
  • [증시캘린더]이번 주(10월3주) 에코아이 수요예측…신성에스티·퓨릿 상장
  •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이번 주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는 쏘닉스, 에코아이 등이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워트, 퀄리타스반도체 등은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신성에스티, 퓨릿 등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 10월16일(월)~17일(화)△워트 공모-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의 핵심 공정에 필요한 환경제어 시스템 사업 영위, 초정밀 온습도 제어장비(THC), 팬필터유닛(FFU),초정밀 항온기(TCU)등 개발 기업-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6500원, 공모금액 최대 260억원.-지난해 매출액 228억원, 영업이익 67억원.◇ 10월17일(화)~23일(월)△쏘닉스 수요예측-무선통신(RF) 필터 전문 파운드리 기업, RF 필터 파운드리 인프라 보유 및 생산 기술 사업 등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5000~7000원, 공모금액 최대 252억원.-지난해 매출액 158억원, 영업손실 34억원.◇ 10월18일(수)~19일(목)△유투바이오 수요예측-체외진단 기업, 일반진단 및 분자진단검사서비스인 체외진단검사서비스 사업 및 건강검진·의료기관용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연동 소프트웨어인 의료IT 솔루션서비스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3300~3900원, 공모금액 최대 44억200만원.-지난해 매출액 690억원, 영업이익 157억원.△퀄리타스반도체 공모-초고속 인터커넥트 반도체 설계 기술과 초미세 반도체 공정 설계 및 검증 기술을 바탕으로 초고속 인터페이스 지적재산(IP) 라이센싱 및 디자인 서비스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1만3000~1만5000원, 공모금액 최대 270억원.-지난해 매출액 107억원, 영업손실 36억원.◇ 10월18일(수)△퓨릿 상장-2010년에 설립된 기초 화학물질 제조업체로, 폐유기용제 정제를 바탕으로 원재료를 합성해 초고순도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케미컬 제품을 공급.-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1만700원, 공모금액 최대 442억원.-지난해 매출액 1373억7300만원, 영업이익 142억8300만원.◇ 10월19일(목)~25일(수)△비아이매트릭스 수요예측-로우코드(low code)솔루션 전문기업,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련 업무시스템을 구축하는 솔루션 개발·공급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9100~1만1000원, 공모금액 최대 132억원-지난해 매출액 276억원, 영업이익 45억원.△에코아이 수요예측-온실가스 감축 사업 기업, 탄소배출권을 발급받아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게 판매하는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2만8500~3만4700원, 공모금액 최대 721억4130만원.-지난해 매출액 601억원, 영업이익 200억원.◇ 10월19일(목)~20일(금)△KB스팩27호 수요예측-신재생에너지, 바이오제약·의료기기, IT융합시스템,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탄소저감에너지, 고도 물처리, 첨단그린도시, 로봇응용, 신소재·나노융합, 엔터테인먼트, 자동차부품 제조, IT 및 반도체, 소프트웨어·게임·모바일산업 등의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 추진.-공모가 2000원, 공모금액 250억원.◇ 10월19일(목)△신성에스티 상장-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용 2차전지 배터리 내 전장부품의 전류를 연결하는 전도체 부스바(Busbar), 배터리 셀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모듈케이스 제품 등을 납품하는 기업.-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초과 2만6000원, 공모금액 520억원.-지난해 매출액 1065억600만원, 영업이익 78억9300만원.◇ 10월20일(금)~26일(목)△컨텍 수요예측-국내에서 유일 상용 민간 우주 지상국을 보유한 우주 전문기업. 우주 지상국 설계, 구축, 운용, 위성 데이터 수신, 처리, 분석·활용 등 토탈솔루션 제공 사업 영위. -공모가 희망범위 2만300~2만2500원, 공모금액 최대 463억5000만원.-지난해 매출액 127억원, 영업손실 18억원. △큐로셀 수요예측-인체 면역세포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면역세포가 가진 암세포 제거 기능 강화하는 CAR-T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공모가 희망범위 2만9800~3만3500원, 공모금액 최대 536억원.-지난해 매출액 -원, 영업손실 214억원.△메가터치 수요예측-배터리 충방전용 테스트 핀(PIN) 과 클립(CLIP), 그리고 반도체 테스트용 프로브 핀(PROBE PIN) 등 개발, 제조, 판매 사업 영위-공모가 희망범위 3500~4000원, 공모금액 최대 208억원.-지난해 매출액 490억원, 영업이익 80억원.◇ 10월20일(금)△에스엘에스바이오 상장-2007년에 설립된 의약품 품질관리, 신약개발 지원 및 체외진단기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공모가 희망범위 하단 미만 7000원, 공모금액 54억원.-지난해 매출액 107억5200만원, 영업이익 24억2400만원.
2023.10.15 I 이용성 기자
랩지노믹스, 前메릴랜드 주지사와 협업 논의…美 진단시장 공략 박차
  • 랩지노믹스, 前메릴랜드 주지사와 협업 논의…美 진단시장 공략 박차
  •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최근 미국 클리아 랩 큐디엑스(QDx Pathology Services)를 인수한 랩지노믹스(084650)는 전 메릴랜드 주지사와 만나 현지 진단시장 공략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21일 밝혔다.이날 랩지노믹스에 따르면 김정주·이종훈 공동대표와 조정희 미국법인 대표이사 등 주요 경영진은 미국 메릴랜드에 소재한 랩지노믹스 미국법인 개소식에 참석해 래리 호건 전 메릴랜드 주지사와 만나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를 도모했다.회사 측은 “메릴랜드 주정부로부터 정책적, 경제적, 제도적 지원을 받기로 협의했으며, 랩지노믹스도 미국법인에 1000억원 이상의 투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라며 “세계 최고 대학병원을 운영하는 존스홉킨스대학을 비롯해 미국식품의약국(FDA), 미국국립암연구소(NCI), 국립보건원(NIH) 등이 소재한 메릴랜드 주와 긴밀한 관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랩지노믹스는 지난달 17일 미국 클리아 랩 ‘큐디엑스’ 인수에 약 760억원을 투자하고 유방암, 난소암 등 다양한 암종을 진단하는 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서비스를 도입했다. 지난 6일에는 미국 캔서문샷 프로그램에도 합류했다. 랩지노믹스는 캔서문샷에 합류한 국내 진단키트 업체 중 유일하게 현지에서 암 진단을 시행하는 기업이다. 랩지노믹스는 지난 2020년 메릴랜드 주에 코로나19 진단키트를 직접 수출하면서 인연을 맺었다. 지난해 호건 전 주지사가 방한했을 당시 수차례 면담을 통해 미국 진단시장 진출과 투자 협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도 했다.김정주·이종훈 랩지노믹스 공동대표의 미국 출장은 지난 18일부터 약 1주일간 이어지고 있다. 랩지노믹스USA와 큐디엑스를 방문해 현지 경영전략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각종 체외진단 검사 서비스의 LDT(연구실 개발 검사) 전환 △NGS 암 진단 도입 △의료 AI(인공지능)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과 협력을 통한 현지 암 조기진단 서비스 출시 등 양사의 시너지에 대한 내용이다.큐디엑스 창업자이자 랩디렉터인 큐레시 박사는 병리학 전문의로서 한국의 영상 의료AI에 대해 관심이 높다고 전했다. 특히 랩지노믹스의 NGS 암진단 기술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랩지노믹스 관계자는 “점유율 확대와 외형 성장을 위해 두번째 클리아랩 인수대상 후보를 추리고 현장실사를 진행했다“며 “AI 암 진단 서비스도 현지에서 선보이기 위해 추친 중”이라고 밝혔다.
2023.09.21 I 이정현 기자
'최근 3년간 매출 3배 ↑'…코스닥 상장 앞둔 유투바이오 강점은?
  • '최근 3년간 매출 3배 ↑'…코스닥 상장 앞둔 유투바이오 강점은?
  •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농심(004370)그룹 계열사 유투바이오가 오는 11월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유투바이오는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진단, 정보기술(IT) 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가파르게 성장했다. 유투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해 종합헬스케어 플랫폼기업으로의 도약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그래픽=문승용 기자)◇체외진단 기술 활용해 질병 의심 검체 검사 진행14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유투바이오는 오는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코넥스 상장사인 유투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 공모예정가는 3300~39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약 37억~44억원이다. 유투바이오는 의료기기 업체인 메디슨(현 삼성메디슨)의 사내벤처인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업체 유비케어 창업주 김진태 대표가 2009년 설립했다. 김 대표는 2008년 유비케어를 SK케미칼(285130)에 매각하고 분자진단검사 분석기업 유투바이오를 창업했다.유튜바이오는 코넥스시장에 2016년 상장했다. 유투바이오는 2021년 최대주주가 김 대표 외 7명에서 메가마트 정보기술(IT)서비스 자회사인 엔디에스로 변경됐다. 메가마트는 고(故) 신춘호 농심그룹 회장의 삼남 신동익 부회장이 이끄는 농심그룹 계열사다.유투바이오는 바이오기술(BT)과 정보기술(IT)이 융합된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이다. 유투바이오는 체외진단 기술을 활용해 질병 의심 검체 검사를 진행한다. 특히 유투바이오는 코로나19 팬데믹 때 국내 주요 보건소와 병원 등에 코로나19 진단과 정보기술 솔루션 등을 제공하면서 급성장했다. 유투바이오의 매출은 2019년 187억원에서 지난해 690억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2019년 8억원에서 지난해 157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유투바이오의 주력 제품은 체외진단 검사서비스 랩투진(Lab2Gene)이다. 랩투진은 진단검사서비스와 의료정보기술서비스를 융합한 유투바이오의 독자적인 서비스다. 랩투진은 병·의원과 검진센터로부터 검사 의뢰가 들어오면 혈액, 조직 등 검체를 수거하며 검사 결과는 전자의무기록(EMR)과 연동돼 자동으로 입력된다. 유투바이오 관계자는 “랩투진은 협력 의료기관과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진단검사, 병리검사, 특수검사 등 다양한 검사 수행이 가능하다”며 “랩투진은 실시간으로 의료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병·의원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Sullivan)에 따르면 유투바이오가 영위하는 글로벌 체외진단시장 규모는 2021년 992억2000만달러( 약 124조원)에서 2026년 1383억달러(약 173조원)로 성장이 예상된다. 또 다른 주력제품 건강검진 소프트웨어 ‘유튜첵(U2Check)은 병·의원 진료환경에 최적화된 건강검진 소프트웨어다. 유투첵은 수검자의 검진 예약부터 사후관리까지 모든 검진 업무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향후 5년 내 매출 1000억원 달성 기대유투바이오 주요 병원 등에 코로나19 진단, 정보기술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구축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신규 사업도 추진한다. 유튜바이오는 신규 사업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새롭게 출시했다. 유투바이옴(U2Biome)은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 기술(NGS)을 활용한 장내미생물 분석 서비스와 이를 연계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추천하고 제공하는 통합 패키지 서비스다.유투텔로라이프(U2Telolife)는 텔로미어 길이를 측정해 세포의 노화와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텔로미어 길이에 따른 결과 해석과 상담을 통해 질병 발병 가능성을 예측해 맞춤형 건강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준다. 개인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개인의 유전정보를 분석해 질병 위험을 예측하거나 생활습관 개선을 돕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로 의료기관용 서비스와 소비자직접의뢰(DTC)라고 불린다. 글로벌 소비자직접의뢰 유전체분석시장은 2021년 14억달러(약 2조원)에서 2028년 42억달러(약 6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유투바이오는 협력 의료기관과 협업해 검사 프로세스의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임상시험(CRO) 서비스 사업도 시행하고 있다. 유투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의료정보솔루션 사업 강화, 신수종사업 발굴, 의료정보시스템 관련 기업 인수합병에 사용할 예정이다. 바이오업계는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5년 내 매출 1000억원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유투바이오 관계자는 “유투바이오는 바이오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임상시험 서비스 부문에서 꾸준한 성장을 이어왔다”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 기반 새로운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장내미생물 유전체 분석 서비스 등 맞춤형 헬스케어를 통해 모두의 건강한 삶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09.20 I 신민준 기자
유투바이오, 코스닥 이전 상장 추진…11월 IPO
  • 유투바이오, 코스닥 이전 상장 추진…11월 IPO
  •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 유투바이오가 코스닥 이전 상장을 본격 추진한다. 유투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 유투바이오는 이번 상장을 위해 112만8720주를 공모한다. 공모예정가는 3300~39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약 37억~44억원이다. 수요예측은 10월 18~19일 진행된다. 10월23~24일 청약을 거쳐 11월 초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은 신한투자증권이 맡았다.김진태 유투바이오 대표. (사진=유투바이오)2009년 설립된 유투바이오는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이 융합된 서비스를 통해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이다. 체외진단 기술을 활용해 질병 의심 검체 검사를 진행한다. 상세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전자의무기록에 실시간 연동해 검사 결과를 전달하는 IT 기술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제품으로는 △체외진단 검체검사서비스 ‘Lab2Gene’ △검진 업무 원스톱 지원 프로그램 ‘U2Check’ △병원 맞춤형 모바일 앱 ‘U2Mobile’ 등이 있다.유투바이오는 장원의료재단과 협력해 주요 병·의원에 코로나19 진단, IT 솔루션 등을 제공해왔다. 장내미생물 유전체 분석 서비스, 텔로미어 길이 분석 서비스 등의 신규 사업도 진행 중이다. 지난해 매출은 690억원으로 2020년(240억원) 대비 70% 성장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억원에서 157억원으로 307% 상승, 회사 설립 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유투바이오는 이번 IPO를 통해 확보한 공모 자금을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 기존 솔루션 고도화, 신규 솔루션 개발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김진태 유투바이오 대표이사는 “이번 IPO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헬스케어 시장 내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투자와 적극적인 사업 추진을 이어가겠다”며 “모두의 건강한 삶을 당연하게 만들겠다는 유투바이오의 미션처럼 회사와 직원이 함께 발전하겠다. 끊임없이 성장하는 헬스케어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다. (자료=유투바이오)
2023.09.06 I 최훈길 기자

더보기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